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2010-01-25 22:12:01
새벽바람™/임헌용 11 714

서해바다를 기준으로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꽃지 할미할아비바위를 중심으로 설명 드리나 다른 곳도 이와 다를 바 없습니다.

먼저 기상청 홈페이지를 열어 "날씨영상"의 "기본영상"을 확인합니다.

EXIF 정보를 가져오는 중입니다.

위와 같은 영상에서 약 250km 해상부터 자기 위치까지 하늘이 맑아야 합니다.

여기서 사실 사진을 찍는 시간에는 165km부터 구름이 없으면 됩니다만 우리나라는 서쪽에서 부터

기상이 변화해 오며 이동하는 시간과 여명까지를 생각해서 더 늘려 잡았습니다.

(왜 165km인지는 아시죠? 사람이 육안으로 수평선을 넘어가는 해를 보려면 계산상 그렇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산동반도 가까이 까지 구름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그러나 높은 구름은 오히려 노을을 붉게하는 고마운 것이니 반겨야겠죠.

다음은 기상청 홈페이지 우측에 "해달뜨고지는시각"을 클릭하면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가 뜹니다.

다시 오른편에 "해달출몰시각"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뜹니다.

EXIF 정보를 가져오는 중입니다.

여기서 "태양고도방위각계산"을 클릭하고 해당 일자까지만 입력하고 해당 지역(시군단위로 되어 있음)을

선택하고 "보기"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페이지 하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EXIF 정보를 가져오는 중입니다.

노란색을 칠한 부분이 일몰 시각 근처의 태양 고도각을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시간단위로 나와서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18시 가까이 돼서 고도가 0도가 되는데 이때

방위각이 247도 정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247도의 방위각으로 적당한 부제 등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하면 됩니다.

EXIF 정보를 가져오는 중입니다.

지난해 11월 8일 촬영한 꽃지 일몰입니다.

꽃지에서 할미할아비바위를 중심으로 일몰을 촬영하는 시기는 대략 11월, 1월~3월 사이 입니다.

물론 다른 때도 가능하지만 할미할아비바위를 조화롭게 이용하지 못한다는 뜻이죠.

EXIF 정보를 가져오는 중입니다.

12월은 대략 위에 표시한 섬이 방해가 돼서 오메가를 기대하지 못하고 일몰이 싱겁죠.^^

EXIF 정보를 가져오는 중입니다.

꽃지 일몰 포인트는 대략 꽃다리 근처와 방파제 위가 됩니다.(이것은 할미할아비바위 가운데로

해가 지는 것을 찍기 위한 장소임)

이 장소들을 옮겨가며 촬영할 수 있는 일몰각은 약 236도 부터 264도 정도 됩니다.

따라서 3월 20일 가까이 되면 섬 사이로 해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없게 됩니다.

다른 지점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검색을 하면 적당한 일몰 포인트와 시기를 선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대작들을 담으시기 바랍니다.

심심해서 끄적여 봤습니다. 틀린 점 있으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꾸~뻑!
* ㅊ ㅓ ㄹ ㅣ/손상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0-01-26 09:40)

11Comments
별새롬 2010.08.05(목) 오전 06:53:13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하누솜 2010.08.07(토) 오전 10:59:56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사진을 찍으려고 하다보니 이것저것 알아야 될 게 엄청나게 많군요.
앞으로 많은 도움 될 것 같습니다.
7Days 2010.08.24(화) 오전 10:27:36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언제다 배울지 걱정입니다. 하지만 화이팅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redox 2010.11.27(토) 오후 05:24:20
훌륭하신 정보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씩씩이 2011.06.09(목) 오후 11:05:41
좋은 정보 감사함니다.
정남진 2011.06.15(수) 오전 11:09:40
전직이 과학선생님이셨나요 ㅎㅎㅎ?
하여튼간에 좋습니다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
담경 2011.12.24(토) 오후 05:15:24
소중한정보감사합니다
아름 ( 陶順貞 ) 2012.03.06(화) 오후 11:18:34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namju 2013.12.30(월) 오후 04:46:11
그림화일 JPG 이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볼수 있나요
덕진/김충국 2014.03.13(목) 오후 04:03:34
어려운 수학문제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예언자 2024.02.23(금) 오전 10:31:2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사진이 안보이는게 아쉽네요.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정회원 이상만 코멘트 쓰기가 가능합니다.
총 게시물 167개 / 검색된 게시물: 167개
글번호   작성자 제목 조회수 작성일
47 처리/손상철 명칭에 따른 크롭바디 전용렌즈와 풀프레임용 렌즈의 구분. [11] 706 0 2010-08-23
46 새벽바람™/임헌용 태풍에 대한 간단한 상식(추가 보완) [24] 584 0 2010-08-10
45 thumbnail 새벽바람™/임헌용 기상에 관한 이야기(4) - 오메가 현상 [50+4] 632 0 2010-08-10
44 thumbnail 새벽바람™/임헌용 이런 때는 공부를...... [58+1] 630 0 2010-06-30
43 thumbnail 새벽바람™/임헌용 장마를 즐겨라! [35+1] 612 0 2010-06-25
42 thumbnail 長老 / 崔 弘宗 왜 "무제"란 제목을 붙일까요? [8] 745 0 2010-06-16
41 thumbnail 이지포토 인공광원을 이용하여 반역광만들기 [12] 567 0 2010-04-08
40 율 [律] 야생화 특징 살리기(닭/dark님의 글입니다) [1] 651 0 2010-04-01
39 thumbnail 윤창수 (차잎소리) 셔속에 따른 빗줄기의 표현 [13] 1857 0 2010-04-01
38 thumbnail 율 [律] 해빙기 산행에서 유의할 점 [2] 505 0 2010-03-17
37 thumbnail 東邦/서병학 해외 출사여행지에서 일출/일몰 시간과 일출각 알아내는 법 [1] 1279 0 2010-03-08
36 thumbnail 새벽바람™/임헌용 파도 이용한 산수화 그리기(촬영팁) [14] 741 0 2010-02-09
35 thumbnail 율 [律] 초접사 (Super Macro) - 작은 것이 더 아름답다 . [11] 1053 0 2010-02-04
34 thumbnail 長老 / 崔 弘宗 이런 사진 찍기를 권유해 봅니다 [20] 1198 0 2010-02-01
33 새벽바람™/임헌용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11] 714 0 2010-01-25
32 thumbnail 율 [律] [겨울산행 채비와 운행요령] 겨울산 필수장비 [1] 567 0 2009-12-03
31 thumbnail 우드정 상고대란? [9] 899 0 2009-11-04
30 thumbnail 두목/김성호 우리 렌즈가 달라졌어요 (렌즈 외부 청소하기) [7] 591 0 2009-10-20
29 thumbnail 산꾼/김연섭 일출 촬영지에서 위치 잡기 [10] 896 0 2009-10-09
28 가고일/민양식 [♨] 소중한 DATA 를 안전하게 보관 하기 (RAID-1 권장) [3] 495 0 2009-09-23

본 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사진과 글은 저작권자와 상의없이 이용하거나 타사이트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사진의 정확한 감상을 위하여 아래의 16단계 그레이 패턴이 모두 구별되도록 모니터를 조정하여 사용하십이오.

color

DESIGN BY www.softgame.kr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