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근,원경 초점 맞추기(Hyperfocal Distance구하기) - 피사계심도 깊은 사진 찍기
2010-11-02 10:47:02
새벽바람™/임헌용 100 1,166



역시 초보자에게 필요한 기술적 내용입니다.

풍경 사진에서 앞에서 부터 먼 곳까지 모두 초점이 맞은 한마디로 쨍한 사진을 찍기 위해 알아야 할 사항이지요.

다시말하면 피사계심도가 깊은 사진을 찍기 위한 내용이라는 것입니다.

먼저 카메라 메뉴에서 기본적으로 셋팅하고 촬영 과정에서도 지켜야할 것들이 있습니다.

1. 취향에 따라 선택해야겠지만 sharpness와 contrast를 hard 쪽으로 조정하고

2. 카메라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삼각대, 미러업-ON, 릴리즈)를 한 다음

3. 찍고자하는 화각으로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앞에서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을까??를 구하는 것이

바로 Hyperfocal Distance(우리말로 "과초점거리"라고 함)를 구하는 것이 오늘 강좌의 핵심 내용이 되겠습니다.

 

어느 화각에서 조리개 얼마를 놓고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앞에서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을까를 구하는 것입니다.

 

어떤 렌즈를 가지고 초점을 잡는데 이과정에서 초점을 잡는 지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문제를 "과초점거리"와 연관해서 자세히 기술하겠습니다.

 
    과초점거리란 어떤 렌즈의 임의 초점거리에서 한 지점에 초점을 맞췄을 때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를 말합니다. 꼬부랑글로 Hyperfocal Distance(H.D)라고 합니다

.
    이 H.D를 구하는 공식은 처음 부터 근초점거리, 원초점거리 어쩌고 저쩌고 하면 머리 아프니까

 
    아래 공식 하나 만 외워 두시고 활용하시면 됩니다.

    H.D=F*F/a*c + F

과초점거리={초점거리의 제곱/조리개값 곱하기 허용착란원크기} + 초점거리 


          F : 촬영렌즈의 초점거리(mm)
          a : 유효구경(조리개 값) 
          c : 허용착란원의 크기(mm)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이란 실제 원(圓)이지만 점(點)으로 인식하는 최소 크기의 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한계 때문에 원이지만 점으로 보여 초점이 맞은 것 처럼 보이는 허용치인 셈이죠.
이것을 "허용착란원의 크기"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다른 것은 다 아는데 허용착란원의 크기를 모르죠?
많이 사용하는 카메라의 허용착란원을 알려드릴테니 대입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니콘 :  D3x, D3s, D3, D700   ------------- 0.03mm 를 제외한 나머지
D300s, D300, D200, D100, D2X, D2Xs, D2H, D2Hs, D1H, D1X, D90, D80, D70, D70s, D60, D50, D40, D40X 는 -----  0.02mm
CANON : 5D(MarkⅡ), 1Ds(MarkⅡ, MARKⅢ)  ------  0.03mm
1D(MARKⅡ, MARKⅡN, MARKⅢ, MARKⅣ)  ------  0.023mm
나머지 모두  ------  0.019mm
SONY  :  A900, A850  ------  0.03mm 나머지는 모두 0.02mm

그러면 예를 들어 볼까요?

니콘D700,  24-70렌즈를 이용하여 50mm로 f11에 놓고 찍는다고 가정하면 위 공식에서

      H.D=50*50/11*0.03 + 50=7625mm=7.625m 가 됩니다.

이것은 7.625m에 초점을 맞추면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인데 여기서 이 지점의 앞쪽은

그 거리의 1/2 즉 3.8m 정도에서 부터 초점이 맞는다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50mm의 렌즈로 f11에 놓고 7.625m에 초점을 맞추면 3.8m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사진이 된다 이런 말입니다.

여기서 조리개 값(a)이 커질수록 거리는 짧아지죠? 그래서 조리개를 자꾸 조이라고 하는 겁니다.

조금 복잡한가요?  단순화 하지요.

위 공식에서 뒷 쪽에 +한 F 값은 앞의 수에 비해 보잘것 없는 수이므로 생략해도 되겠죠?

그래서 ▶H.D=F*F/ac◀ 만 외우면 됩니다.

a는 조리개값, c는 자신의 카메라 허용착란원크기 잊지 마시고  "초점거리를 제곱해서 조리개값 곱하기 착란원크기로 나눈다"

요렇게 외우세요. 반복 복창 10번!!!!!!!!!!!!!!!!

그리고서 "위 공식으로 나온 숫자에 초점을 맞추되 앞쪽은 그 거리의 1/2지점부터 무한대까지 쨍하다"고 기억하세요.


그러면 광각이 얼마나 유리한지  한번 볼까요?

10mm 광각으로 f11에 놓고 찍는다면 H.D=10*10/0.33=303mm  즉 0.33/2=0.17m 부터 즉 17cm 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겁니다. 대단하죠? 

 

이거 일일이 계산해가면서 사진찍기는 불가능하겠죠? 바빠 죽겠는데......ㅋㅋ

그래서 팁을 하나 알려드립니다. 여유가 있으면 핸펀 다 가지고 계시니까

핸펀을 꺼내 계산하시고 그것도 귀찮으면 미리 여러가지를 계산해 보고

대략적인 거리를 알아두셨다가 활용하시던가 그것 마저도 못하겠다 그러시면

왠만한 화각에서는 전체 화면 중 앞에서 부터 대략 1/5~1/4 지점에 초점을 맞추면 피사계계심도가 깊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아마 이 글을 어느정도 이해하셨다면 의외로 가까운 곳에 초점을 맞춰도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구나~~라고 느끼셨을 겁니다.

 

가끔 일몰, 일출  등에서 태양에 초점을 맞춰 사진을 보면 앞이 흐릿해서 마치 전체가 흐린 사진처럼 보이는 것이

눈에 띄어 이 글을 올립니다. 참고 하셔서 좋은 작품 많이 담으시기 바랍니다.

 

중간 중간 손님이 와가꼬 글 쓰는데 방해를 하네요. ㅋㅋ ^_^

*** 이 글에서 잘못된점이 있으면 지적해주시고 출코회원의 개인블로그에 담아두시는 것은 허용하되

클럽이나 단체의 홈페이지에 실을 때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시기 바랍니다. ***

댓글 관리는 버튼은 해당 댓글에 마우스 오버시 활성화 됩니다.
100Comments
녹차꽃(열공) 2010.11.02(화) 오전 10:55:31
아주 유용한 촬영 팁 감사히 봅니다...........^^*
송원/조웅제 2010.11.02(화) 오전 10:59:36
알토란 같은 정보 두번읽고 갑니다...청장님 싸랑합니데이...
애임ㅎrㅇi 2010.11.02(화) 오전 11:01:14
대단하십니다~~몇줄 읽다가 포기~~아이고 두야~~~ 머리가 심히 저질이라서 ^^
태권V(權宗垣) 2010.11.02(화) 오전 11:07:02
아이고 .. 천천히 읽어봐야겠습니다^^
전천후/김한수 2010.11.02(화) 오전 11:13:35
캬 따로 저장 해놓습니다...감사드립니다..^^*갑자기 진사님들이 쓰시는 용어가 궁굼해집니다..큰행님...ㅎ
임이랑 2010.11.02(화) 오전 11:14:21
대단하십니다.....잘읽고 배워봅니다....항상 감사드립니다. ^^
우 석 2010.11.02(화) 오전 11:18:18
늘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한 방에 날려 주셨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신사청년 2010.11.02(화) 오전 11:25:40
이론적으로 들어가니 쪼메 머리가 아푸지만도 잘 응용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칸트천사/임진수 2010.11.02(화) 오전 11:33:55(121.177.x.xxx)
ㅎㅎㅎ늘 존경하는 마음은 한결같지만오늘따라 더더욱 존경하게 맹그네요...날씨가 갑작스레 추워졌는데이럴때 건강에 유의하시어 댕기시기 바랍니다.... 선배님 싸랑함니데이~~~~~~
7Days 2010.11.02(화) 오전 11:36:17
음~ 쨍한 사진 볼 때마다 정말 궁굼했는데 이제야 "아~!"하고 깨달아 집니다. 정말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10번 복창했습니다.ㅎㅎㅎ
아침햇살(황인직) 2010.11.02(화) 오전 11:51:13
정말..제가..궁금한 촬영정보네요..용암사에서, 오도산에서 초점땜에 애를 먹었는데..이 내용..몇번 필독해봐야겠습니다.완전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쏘울™/전인호 2010.11.02(화) 오전 11:53:53
유익한 정보입니다...사진의 이론도 많이 공부해야 겠습니다.. 열공..^^
kim 2010.11.02(화) 오전 11:53:57
한 컷을 담기 위해 끝없는 연구와 분석이 있으셔서 늘 대작을 담으시나 봅니다.무한 존경합니다~~청장님!^^
조이제 2010.11.02(화) 오후 12:05:00
와~ 완전 실전에 유익한 강좌 정말 감사드립니다. 존경합니다. 청장님~
쏠메이트[정혜숙] 2010.11.02(화) 오후 12:12:17
음..이런 공식이 있었네요..전 늘 감으로 잡았는데..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콜롬보 2010.11.02(화) 오후 12:21:21
정말로 유용한정보 고맙습니다~~~~~
이루자 2010.11.02(화) 오후 12:28:12(125.208.xxx.xx)
풍경 사진 찍을때마다 이점이 항상 궁금 했는데 이렇게 공식이 있었네요.....늘 좋은 정보과 꼭 필요한 강좌를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블로그에 담아놓고 두고 두고 보겠습니다~ ^^
sky_2 2010.11.02(화) 오후 12:37:33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1/4 정도.....만 기억할렵니다^^;;;공식으로 계산할 경우 FF와 크롭바디 같이 적용하는 것인지요~~~?!
  • 새벽바람™/임헌용 2010.11.02(화) 오후 01:07:10

    네~ 똑같이 계산하시면 됩니다.크롭바디는 일반적으로 허용착란원이 작습니다.따라서 H.D가 커지죠. ^^
하슬라/김흥섭 2010.11.02(화) 오후 12:39:15
참 유용한 팁입니다.머릿 속에 넣어갑니다...감사합니다.
맘미/정경순 2010.11.02(화) 오후 12:51:11
늘~~~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십시요...^^*
이과수/유진현 2010.11.02(화) 오후 12:51:40
점심시간에 좋은거 배우고갑니다..감사드리며 건강하십시요..^^*
心月 2010.11.02(화) 오후 01:10:34
중간중간손님께서 방해~~그럼제가 때치ㅋㅋ감솨 감사합니다 요런정보는 잽싸게 스크랩 히^^
짱돌/안영 2010.11.02(화) 오후 01:37:34
감사합니다.늘 받기만 합니다.
바람나무/원만석 2010.11.02(화) 오후 02:24:30
너무 길어요 간단하게 해 주셔야 할거 같은디요아님 집에서 읽어 봐야 할듯합니다.
silver/송준희 2010.11.02(화) 오후 02:49:21
소중한 정보 감사 드려요
하늘지기/이형종 2010.11.02(화) 오후 03:59:27
배우고 도 배워도 한정 없는게 사진인것 같습니다..오늘도 또 한가지 배우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달해 2010.11.02(화) 오후 04:11:42

감사합니다. ~~~~~꾸~뻑~~~~ 꾸~뻑~~~~
담후™ 2010.11.02(화) 오후 04:34:40
선배님 앞에껀 읽고 계산 방식이 넘 어려버서 제외하고 마직막만 머리에 담아 갑니다.좋은 정보과 지식을 주시는 선배님께 무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1/5~1/4 전 요것만 기억 할랍니다. 앞에껀 집에가서 공부 해야지....ㅋ
도사님 2010.11.02(화) 오후 05:04:08
좀 쉽게 해 주세용....이 돌머리 한참 읽어도 영.....ㅋㅋㅋ저장했다가 천천히 다시 읽어 보겠습니다....감사합니다.
홍섭/권용태 2010.11.02(화) 오후 06:03:03
공부가 됩니다. ㅎㅎㅎ항상 좋은정보에 감사드려요.
전용도로 2010.11.02(화) 오후 06:25:30
고수님들의 사진과 제사진을 비교 할때 참으로 궁금한것 중에 한가지를 습득 했습니다.아직은 전체의 가르쳐 주신 내용을 이해하지는 못해도 어느 정도 감이오네요.나머지 부분은 하나씩 짚어가며 이해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워니쫑이/ 박남기 2010.11.02(화) 오후 07:40:02
도대체 우리 새벽 바람 선배님은 모르시는게 뭡니까????그것이 궁금하네요...ㅋㅋㅋ좋은 공부 하고 갑니다...
사진한장 이야기 2011.03.08(화) 오후 09:08:07
엔지니어링 전공을 하신 분 답습니다. 저는 미처 이 글을 읽어 보지 못했는데, 쪽지로 보내 주셔서 이제서야 읽어 봅니다. 멋집니다.
南松 *한종수 2011.03.08(화) 오후 10:20:17
감사드립니다.
엔죠 2011.03.08(화) 오후 11:09:18
아니 이 멋진 팁을 이제야!!! 감사합니다ㅎㅎ
순수 (b) (황차곤) 2011.03.08(화) 오후 11:28:00
감사 합니다유용하게 적용하겠습니다(오늘에서야 보았습니다
돔보/정금규 2011.03.08(화) 오후 11:33:51
감사합니다.
雲山/이근우 2011.03.08(화) 오후 11:38:27
정말 너무 감사드립니다.. 전혀 생각치도 못했던 아주 중요한 강좌와 팁.. 열공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이 함께 하십시요..
보일러 박사 2011.03.09(수) 오전 00:45:22
좋은 정보 황금 과도 같은 정보 감사 드림니다
벽계수 2011.03.09(수) 오전 05:18:44
일단 저 홈에 모셔다 놓고,,,,
끝장이 나도록 봐야겠습니다. 그리고 익히고,,,
정말 감사합니다.
無我 / 임면재 2011.03.09(수) 오전 07:18:02
너무나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倉庫 / 최강호 2011.03.09(수) 오전 07:43:40
감사합니다.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도겸 2011.03.09(수) 오전 10:51:42
대단 하십니다.너무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이상성 /한민관광 2011.03.09(수) 오전 11:03:49
감사합니다.많이 배우고있습니다
산 호 / 이 정태 2011.03.09(수) 오후 12:04:00
소중하고 유용한 정보 감사 합니다...^^
정안/정태조 2011.03.09(수) 오후 12:05:22
참으로 감사합니다. 잘 배워서 실전에 응용하겠습니다.
차사랑777/최일연 2011.03.09(수) 오후 01:04:26
소중하고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호박씨 2011.03.09(수) 오후 03:43:29
일대일 과외 같이 상세한 팁 감사 드립니다.
신기하기도 합니다.
Aidan(에이든) 2011.03.10(목) 오전 08:58:13
과초점거리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유용한 팁 감사드립니다.
리브 2011.03.10(목) 오전 10:22:32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줄거운날 되십시요^^
딸바보 2011.03.10(목) 오후 01:57:35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cass사랑 2011.03.11(금) 오전 09:47:59
초보인저에게는 넘 어렵게만 들리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열이 2011.03.11(금) 오후 06:22:49
늘 감사드립니다. 유익한정보를 주셔서... 제가 교육용으로 담아가겠습니다.
나의 여행자 2011.03.16(수) 오후 02:37:02
좋은정보 감사 드립니다 늘 공부하고 갑니다
김황수 2011.03.18(금) 오전 06:46:03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이태준 2011.03.20(일) 오후 03:36:50
아! 그렇군요 전혀 모르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꼭 실전적용 해보겠습니다
이태준 2011.03.20(일) 오후 04:20:47
그런데,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워낙에 무식해서 ㅠㅠ
계산된 거리에 수동으로 어떻게 촛점을 맞추는거죠?? 렌즈 거리계창은 3미터 이상은 무한대 인것 같아요..
아조선명 2011.04.07(목) 오후 11:15:00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되어서 감사 드립니다.
세연아빠 2011.04.19(화) 오전 09:25:28
너무 좋은 강의와 설명 감사드립니다.
질문 : 저의 경우 크롭바디인데 크롭의 경우 초점거리를 환산한 미리로 계산하여야 하는지요?
개굴소년 2011.05.12(목) 오후 08:29:12
너무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름 ( 陶順貞 ) 2011.05.19(목) 오후 08:41:15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
하얀태양 2011.05.28(토) 오전 10:43:54
아고 넘 어려워여 쉽고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이나 계산해놓은 표같은게 있으면 좋겠네요. ㅎㅎ
정남진 2011.06.15(수) 오전 00:47:07
대단한 내용입니다
감사 합니다
행복만땅/고내금 2011.09.16(금) 오후 02:47:56
읽고 또 읽어두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제 머리가 돌이라서 그런가봐요!ㅜㅜ
행복만땅/고내금 2011.09.16(금) 오후 02:47:56
읽고 또 읽어두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제 머리가 돌이라서 그런가봐요!ㅜㅜ
無我 / 임면재 2011.09.17(토) 오전 10:35:37
알토란같은정보! 숙지하고 갑니다!
형님! 늘 유용하고 알찬정보 감사드립니다!~~~~~~~~~~~~~~~^^
無我 / 임면재 2011.09.17(토) 오전 10:35:44
알토란같은정보! 숙지하고 갑니다!
형님! 늘 유용하고 알찬정보 감사드립니다!~~~~~~~~~~~~~~~^^
덕이/최윤덕 2011.10.10(월) 오후 01:21:58
유용한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근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4*24/11*0.3+24일때 촛점거리는 1.745m정도인데 근거리에서 원거리까지 쨍한 사진을
담기 위해선 1.745m에 촛점을 맞춰야 한다는데,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찍기 위해선 어디에 촛점을 맞춰야 하는지요.
자근섬 2011.10.21(금) 오후 05:51:36
사진을 찍는데 초점을 어디다 마출까 제일 궁금했는데 아주 유용한 정보 읽고 또 읽고 숙지 하다 못하여 블러그에스크랩 해 갑니다...감사 합니다..
-동천- 2011.11.19(토) 오전 11:28:18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주옥 같은 내용입니다.
좋은 강좌 내용 감사합니다.
호걸 2011.12.02(금) 오전 08:19:33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앞으로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겠습니다..^^
지니(조혜진) 2011.12.02(금) 오후 03:29:59
정말정말 궁금햇던 것을 너무 자세히 알려주셔서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담경 2011.12.23(금) 오후 08:42:15
읽고또읽하기를 몇번 이해가 쫌갑니다
★헌터★朴元鐘 2012.02.15(수) 오후 01:54:44(118.41.xx.xxx)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후리맨 2012.03.31(토) 오전 00:38:27
감사합니다.
인투더포 2012.06.29(금) 오후 01:33:21
가르침 주셔서 감사 합니다
雨野/韓玄雨 2012.08.23(목) 오전 07:47:28
구형 렌즈, 즉 요즘의 디카 전문용 렌즈가 아닐 경우 조리개 창에 붉고, 하연 눈금이 새겨져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 설명을 간단하게 표시한 것이죠
촛점이 맞는 범위를 렌즈 위에 표시한 것이기도 합니다.
좋은 설명입니다.
내가좋아하는 2012.08.23(목) 오전 08:33:56(112.145.xxx.xxx)
정말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이런 공식이 있었군요. 저두 1/4만 기억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보일러 박사 2012.08.23(목) 오전 09:57:1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처리/손상철 2012.08.23(목) 오전 10:09:38
과초점거리~~허용착란원~~외워야 겠네뇨~~~^^
근디~~수학하고는 거리가 멀어서리,,,,,거리만 외워서 사용해야것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전갈 2012.08.23(목) 오전 10:25:11
감사합니다.
탈퇴 2012.08.23(목) 오전 10:34:42(180.228.xxx.xx)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저장하고 외우겠습니다.
미다리아빠 2012.08.23(목) 오전 11:00:38
참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1/4 기억하구 열씨미 배워보겠습니다.~~~
흔적 2012.09.04(화) 오전 02:04:24
정말 많은 도움이 되는 주옥 같은 글이군요~~ 감사합니다...
松林 2012.09.27(목) 오후 05:16:13
역시 좋은 공부글에는 수강생이 와글 빠글 많습니다. 그중에 한사람으로 남고 싶네요.
수강료 없을 때 많이 배워두는게 이모저모 도움이 많이 될것 같아서...^ ^ 고맙습니다.
자연과동행 2012.11.13(화) 오후 03:48:34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열심히 배워보겠습니다.
만다라 2012.11.30(금) 오전 11:06:20
정말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예전에 읽었는데....망각했는데... 다시보니...또 한번.... 정말 감사합니다.
평생교육원 3곳을 다녔지만 이런것 갈차주는 선생들이 없었음.
씩씩이 2012.12.09(일) 오전 02:58:06
무지 감사합니다.
화승이슬이 2013.01.26(토) 오후 03:05:41
다른 건 골치 아파서 패스!Hyperfocal Distance!왠만한 화각에서는 전체화면 중에서 앞에서부터 대략 1/5 ~ 1/4 지점에 촛점을 맞추면 피사계심도가 깊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무지무지 감사합니다.
새그림자 2013.02.22(금) 오후 10:19:06
한가지는 확실히배웠습니다
일출 일몰사진이 이상했는데, 바로 이런실수때문이었군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대로. 2013.02.28(목) 오후 02:09:24



자신이 부족하여 자주 보게 됩니다. 여기에 게으름까지 있다보니 실습에도 부족합니다.좋은 정보 소흘하지 않도록 열심히 실습아고 익히겠습니다. 보석 같은 정보 감사합니다.
낭만사내 2013.03.13(수) 오후 03:22:49
아.. 피사계 심도란 감으로 하는건줄 알았는데 이런 심오한 물리학이 있을줄이야..
왠만한 화각에서는 전체화면 중에서 앞에서부터 대략 1/5 ~ 1/4 지점에 촛점을 맞추면 피사계심도가 깊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 요 문구만 일단 집에 들고 가야겠습니다. ^^
귀한 글과 댓글들 감사합니다.
덕진/김충국 2014.03.13(목) 오후 04:34:52
1/5 ~ 1/4 이거하나만 이라도 기억하도록 합니다
베네상스 2014.03.21(금) 오후 06:48:45



너무 유익한 정보네요!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얀안개 2014.05.29(목) 오후 02:00:17
너무 너무 좋은내용 오롯이 받아 갑니다. ^--^ 감사합니다.
순박한순철이 2014.10.07(화) 오후 01:56:03
출코 신입입니다. 종은 정보 잘 숙지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집 2015.11.12(목) 오전 11:02:49



읽고 또읽고 댓글까지 1시간은 머물며 습득합ㄴㅣ다.가르침이 헛되지 않도록 실전에서 기억할 수 있도록 열심이 노력하는 진사가 되겠습니다.초점거리 제곱/조리개값 곱하기 허용착란 원의크기 플러스 초점거리...그런데 선생님 글 중에 아래 계산이 맞는 건가요?10mm 광각으로 f11에 놓고 찍는다면 H.D=10*10/0.33=303mm 즉 0.33/2=0.17m 부터 즉 17cm 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겁니다. 대단하죠?
山山水水 2016.11.03(목) 오전 10:58:24
깨우치니 즐겁습니다. 감사합니다.
BB 2016.11.22(화) 오후 12:23:30
정말 유익한 정보입니다....실전에 활용해 보겠습니다...F*F/c*0.03..ㅋ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정회원 이상만 코멘트 쓰기가 가능합니다.
총 게시물 167개 / 검색된 게시물: 167개
글번호   작성자 제목 조회수 작성일
67 thumbnail 탈퇴 해뜨는 시간과 해뜨는 방위각 구하는 방법.. [17+3] 3393 0 2011-01-18
66 thumbnail 엔죠 해운대 마천루/ 해운대 마린시티 촬영 기법 [71+1] 931 0 2011-01-10
65 雨野/韓玄雨 침핑 기법을 이용한 실력 쌓기. [16+1] 681 0 2011-01-08
64 thumbnail LimCD Sony Vegas Pro에서 영화 화면 비율(2.35:1) 만들기 904 0 2010-12-08
63 thumbnail LimCD Adobe Premiere Pro에서 영화 화면 비율(2.35:1) 만들기 2808 0 2010-12-08
62 LimCD HD 동영상 제작 따라하기... [3] 602 0 2010-12-04
61 알파정보 물때 확인하기 (만조 간조 시간) [1] 713 0 2010-12-05
60 thumbnail 진도 일출. 일몰 사진 촬영 위치 잡기 [11+1] 343 0 2010-11-29
59 雨野/韓玄雨 공식과 실제 차이 - 뺄셈의 예술 사진 [11] 665 0 2010-11-26
58 雨野/韓玄雨 인물 사진의 포인트 [33] 739 0 2010-11-20
57 雨野/韓玄雨 일출, 일몰 촬영법-처음 사진 시작하시는 분에게만 [50+2] 892 0 2010-11-17
56 雨野/韓玄雨 고수들이 가르쳐 준 광각렌즈 사용법 [61] 758 0 2010-11-12
55 새벽바람™/임헌용 근,원경 초점 맞추기(Hyperfocal Distance구하기) - 피사계심도 깊은 사진 찍기 [99+1] 1178 0 2010-11-02
54 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물안개 [32+2] 719 0 2010-10-28
53 thumbnail 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일교차에 의한 안개 발생 - 잘못 이해하는 부분 강조 [60+1] 670 0 2010-10-27
52 thumbnail 새벽바람™/임헌용 사진가의 자세 [61] 803 0 2010-10-26
51 thumbnail 엔죠 부산불꽃축제 명당 안내 및 부산불꽃축제 백배 즐기기 [69] 1666 0 2010-10-14
50 thumbnail 雨野/韓玄雨 패닝샷 쉽게 찍는 법 [13] 928 0 2010-10-01
49 새벽바람™/임헌용 [초보자만 참고] 사진을 보는 습관 [94+2] 816 0 2010-09-10
48 thumbnail 엔죠 극적인 풍경을 담으려면 태풍전후를 기다려라. [19] 1038 0 2010-08-28

본 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사진과 글은 저작권자와 상의없이 이용하거나 타사이트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사진의 정확한 감상을 위하여 아래의 16단계 그레이 패턴이 모두 구별되도록 모니터를 조정하여 사용하십이오.

color

DESIGN BY www.softgame.kr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