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위 사진은 근경(활짝 핀 철쭉꽃), 중경(철쭉의 뒷쪽 꽃봉오리), 원경(뒤의 산)에 초점을 맞춘 사진 3장을 찍어
스크립트 ㅡ 스택으로 불러오기 ㅡ 레이어 자동혼합하여 합성한 것입니다.
이렇게 찍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
예를 들어 니콘 D4의 경우 16mm 어안은 과초점거리가 55cm로 초점을 55cm 지점에 맞추면
약 27cm 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사진이 되어(뭔말인지 모르면 강좌게시판의 과초점거리 참조) 한방에 해결이 가능합니다.
이 처럼 초광각렌즈일수록 과초점거리가 짧아 초점범위가 넓고 근~원경을 모두 선명하게 찍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초광각으로 찍으면 원근감이 강조되어 뒷쪽 운해가 너무 멀고 작게 보이겠지요.
운해를 좀 더 크게 나타내면서 구도를 잡기 위해서 50mm렌즈를 선택했습니다.
니콘 AF-S 50mm F1.4는 최소조리개가 16으로 최대한 조인다해도
과초점거리는 5m26cm에 달해서 한장으로 찍으면 근거리 초점은 2m69cm에 맞게 되어
앞쪽의 꽃은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이 됩니다.
그럼 24-70 줌렌즈로 50mm에서 F22로 조이면 되지 않을까?
그래도 과초점거리는 약 380cm로 190cm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지만 1m 내외의 가까운 꽃은 초점이 맞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앞의 꽃에 초점을 맞추면 뒷쪽 운해는 흐려지게 되지요.
여기서..... 뒷쪽을 아웃포커싱하면 더 좋던데요? 이런 사람 꼭 있습니다.
그런 사람은 그렇게 찍으면 됩니다. 앞,뒤 모두 초점이 맞는 사진을 찍기 위한 방법만을 이야기 하는거니까...
그러면 왜 앞, 뒤 초점이 모두 맞는 사진을 찍을까?
이 사진의 예에서 보듯 뒷쪽의 운해가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운해도 없고 큰 의미도 없는 배경이라면 굳이 어렵사리 멀티초점으로 촬영할 이유는 없습니다.
사진의 구성요소 중 앞과 뒤의 풍경이 모두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초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조리개를 조이고 초점거리 범위에 구성요소가 모두 들어온다면 좋지만
과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사용하여 앞, 뒤 모두 초점을 맞춰여겠다고 판단될 때 이 방법을 택하는 것이죠.
즉 멀티 초점으로 STACK합성을 하는 방법을 아는게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떤 경우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생각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스택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이런 사람도 꼭 있지요.
대충 사진만 보고 필요한 것만 힐끗 보고 가면서 출코에 어떤 정보들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
강좌란에 필요한 것들은 다 있습니다.
여러장을 찍어서 합성하는 방법 중 많이 이용하는 것이 파노라마와 stack합성입니다.
파노라마는 상하, 좌우로 여러 장을 이어 붙이는 것이고
stack으로 합성은 벽돌 쌓듯 여러장을 겹쳐서 합성하는 방법입니다.
참 유익한 강좌입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고급 정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새벽바람님 감사합니다.제 홈피에 옮겨두고 공부해도 좋을런지요,,
-
새벽바람™/임헌용 2015.05.04(월) 오전 09:33:51괜찮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꼭 알아두셔야 할 것은
이런 경우 출처(어디서, 누가 쓴 글)를 반드시 밝혀야 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__
정보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좋은강좌 감사합니다.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논리를 깨닿을 수 있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역시 바람 패밀리 이십니다~바람들 모두 모아 일박이일 워크샵 함 하입시다. ㅋㅋ
대전에서 함 ~ 강의함 하시지요 ,,,얼굴들도 함 볼겸해서요 ㅎㅎ유익한 정보 입니다 ,,,
좋은 정보 (강좌) 고맙습니다.언젠가 외국사이트에서 본 듯한 멀티촛점( 해석을 제대로 못해서) 내용인것 같은데, 시원하게 설명해주셨군요.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
오늘 바로 연습해 보아야겠습니다.감사드립니다.
고민만하고 실현하기에 게을럿던 시간이 생각납니다. 반성합니다.귀한 정보를 주시니 부지런하게 연습하고 연습하여 정보 활용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눈으로 그냥 힐끔 쳐다보고가는 내용이 안되게
몇번을 정독을 하고 머리속에 각인시켜 현장에서 실행해 보겠습니다.
그동안 선배님들의 사진을 보면서
멀티초점잡는 방법이 정말 궁금했습니다 ᆞ
내일 바로 실습해봐야 겠습니다
정보 갈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질문하나만 드리겠습니다. 레이어 자동 혼합이라는 것이 어디에 있는지 궁금합니다.
유익한 정보감사합니다이번봄에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꼭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147 | 처리/손상철 | 노달 포인트~ [32+2] | 13811 | 0 | 2018-06-25 | |
146 | 처리/손상철 | 핸펀 파노라마 노출오버 안되게 찍기,,, [18] | 11583 | 0 | 2018-06-18 | |
145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번외 - 대구미술관관람기 :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1부) [3] | 404 | 0 | 2018-03-05 | |
144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13 - 자연주의 | 756 | 0 | 2017-12-20 | |
143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12 | 862 | 0 | 2017-12-13 | |
142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11 | 1085 | 0 | 2017-11-25 | |
141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10 | 811 | 0 | 2017-11-15 | |
140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9 [1] | 1352 | 0 | 2017-09-20 | |
139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8 (번외 - 스미스소니언 사진전) | 694 | 0 | 2017-08-23 | |
138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7 | 700 | 0 | 2017-07-19 | |
137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6 | 813 | 0 | 2017-07-04 | |
136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5 (번외 - 행사사진 잘 찍는 방법) | 719 | 0 | 2017-06-25 | |
135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4 (번외 - 경산 촌놈, 예술의 전당에 가다) [1] | 705 | 0 | 2017-05-29 | |
134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3 [1+1] | 734 | 0 | 2017-05-15 | |
133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2 | 780 | 0 | 2017-04-30 | |
132 | 경산조이컴 | 일반인이 정리하는 근현대미술사 1 | 901 | 0 | 2017-04-30 | |
131 | 강원포토 | 정오에는 사진을 찍지말아라 [8] | 1208 | 0 | 2016-05-19 | |
130 | 새벽바람™/임헌용 | shakeup기법(흔들어 찍기) [36] | 1965 | 0 | 2015-10-26 | |
129 | 새벽바람™/임헌용 | 멀티초점을 이용한 stack으로 합성 [45+1] | 1574 | 0 | 2015-05-04 | |
128 | EF자전거/강동구 | 얼굴보정 프로그램 이용하기 [14+2] | 1699 | 0 | 201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