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알고 계시는 분도 있고 아니면 이제 입문하여 모르는 분을 위하여 개인적으로 아는 상식으로 꾸며 보았습니다.
그중에서 개인적으로 필요치 않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냥 참고 하시라고 올려 봅니다.
이제부터 덕유산 태백산 설악산.대둔산 설경 촬영 시즌입니다.
1)덕유산은 무주 리조트에서 관광곤도라 타고 설천봉가서 향적봉까지 약20-30분 소요 향적봉애서 중봉까지 약30분 소요 설천봉 부터 중봉까지 날 좋은 날은 주위 모두가 즐거운 피사체가 됩니다.
특히 덕유산 일출일몰촬영 할려고 하면 산장애서 자야 하는데 주말 산장 예약하기 가 정말 힘듭니다.
그래서 당일 치기로 무주스키장에서 눈썰매 타고 아침 일찍 설천봉까지 가는 방법도 있는데 이것도 예약이 필수 입니다.
아니면 첫 곤도라( 09:00) 타고 주경 촬영하고 오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히 겨울산은 준비 하지 않으면 낭패을 봅니다.
특히 보온에 신경을써야 합니다.
준비물
1)상의:방풍의(소재 고어텍스원단)일명 윈드자켓 고어텍스 원단은 고가입니다 그 대신 땀 배출과방수 기능이 우수 하며 그외 비슷한 원단도 많이 있습니다.
2)윈드 스토퍼: 폴라텍기능에서 방풍 기능을 첨부한 소재 일반적으로 아웃도어용으로 많이 입고 있습니다.
3)다운 파카: 거위털이나오리털 파카 방풍방수 기능은 없고 보온이 주기능 거위가슴털90%깃털10% 비율이 제일 좋은 구성입니다. 보통700필800필900필1000필 숫자 높을 수록
비싸고 좋습니다.
4)하의:하의는 크게 신경안써고 겨울용으로 장만하면 됩니다. 그중에서도 셀러원단이 조금 비쌉니다.
하의 방풍의는 크게 사용빈도가 적으니 구입하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그 대신 내의는 꼭 장만 하셔야 합니다.
등산용 내의및 속옷은 땀이 나면 금방 마르기 때문에 뽀송뽀송합니다. 특히 겨울산에서 청바지는 금물입니다. 청바지는 한번 젖어면 빨리 마르지 않기때문에 체온 손실 많아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5)신발:요금 고어텍스 기능이 첨부된 겨울용 중등산화 정도면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신는 경등산화는 겨울 눈밭에서 방수기능이 없기때문에 신발 안으로 물이 들어 옵니다.
발이 씨리고 나면 사진이고 등산이고 만사 귀찮아 하산해야 합니다.
아니면 동상으로 갈 수 있습니다.
6)아이젠:눈밭이나 빙판이 되면 미끄러워 다닐 수가 없습니다. 특히 고가의 사진기을 가지고 다니면 겨울에 아이젠이 필수 입니다.
아이젠 종류는 2발 4발 6발 8발 10발 등이 있습니다. 최소 4발 이상 되는것으로 장만 하십시오 그리고 아이젠이 간혹 버껴 지는데 고정하는 부분을 잘 선택합십시오
7)스페츠:등산화 안으로 눈이 들어 오는것을 막아주는 역활을 합니다. 굳이 고어텍스 기능이 아닌 나이론 소재면 됩니다.
고어텍스 원단 스패츠는 전문산악인 아니면 필요치 않습니다.
8)양말:겨울 등산용 양말 그리고 안에 일반 양말 하나 신고 등산용 양말 신으면 됩니다.
10)장갑:보통 장갑은 두개 정도 구입하면 좋습니다. 폴라에 한면 코팅 된 장갑하고 고어텍스 기능이 첨부된 장갑하고 같이 있어야 합니다. 고어기능 장갑은 조금뚜꺼운 편이기 때문에 촬영시 불편합니다.
그러나 장갑은 싶게 젖어 버리기 때문에 산에서 잘 젖지 않는 고어텍스 기능이 첨부된 장갑을 필히 장만 하십시오 그리고 장갑이 젖어버리면 배낭에 넣지 말고 가슴에 품어 주세요 그러면 빨리 말을 수 있습니다.
11)모자:겨울용 모자는 귀을 덮을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됩니다.
우리 신체 중에서 제일 열 손실이 많은 부위입니다.
12)바라크라바:안면 보호용입니다. 가면 같이 생긴 것입니다. 목스카프 종류도 있고 종류가 다양합니다. 뚜꺼운것 보다 얍으면서 기능이 좋은 것이 있습니다.
13)고글:낮에 해가 눈에 비치면 눈을 보호 하는 기능
14)스틱: 스키 스톡은 3단으로 된 것으로 구입 하면 되겠습니다.
15)배낭:카메라 용 배낭은 카메라와 렌즈 넣고 나면 옷이나.간식 식수등 넣을 공간이 없습니다.
등산용 배낭 35-50L에 디펙이라는 배낭안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카메라및 렌즈 보호기능도 됩니다. 디펙 두개 정도 구입하면 카메라및 렌즈넣고 그외 공간에 옷같은 소지품 넣으면 되겠습니다.
16)보온 병:여러 종류가 있으니 내 용도에 맞는 것으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17)버너:휘발유버너.가스버너가 있습니다. 겨울에는 가스버너는 기온이 낮아지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휘발유 버너을 사용합니다 연료통일체식과 연료통 분리형이 있습니다.
분리형이 가격이 비싸고 고장이 적습니다. 겨울에 가스버너 사용시 가스 구입을 꼭 동계용으로 하세요 일반 수퍼에는 잘 없습니다. 등산장비점 그리고 휘발유는 꼭 정재된 무연 휘발유을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 주유서에서 판매하는 무연 휘발유는 노즐이 막힐 수 있습니다. 구입처는 등산용품점
18)코펠:알루미늄하고 티타늄 같은 소재가 있습니다. 크기는 나의 용도에 맟추어 구입하시면 됩니다.
19)침낭:침냥은 오리털과거위털이 있습니다. 오리털보다 거위털이 가볍고 보온성이 좋습니다. 비율은 80:20 90:10 이 동계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가슴털90 깃털10 그리고 다운 그램수에 따라 보온이 틀립니다
그리고 침낭 원단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20)침낭카바:겨울에 혹시 비박 할려면 꼭 필요한 것입니다. 고어텍스 원단으로 추천
21)매트리스:비박이나 야영 할려면 필수 (일명 빨래판)
22)손난료:정제 휘발유 사용
23)핫팩
24)렌턴:머리애 고정식과 휴대용 렌턴 그리고 전구식과 LED식 두가지가 있는데 머리 고정식이 유용함.
25)배낭카바: 배낭카바는 배낭 일체식과 분리형이 있으니 배낭에 맞게 구입
져가 지금까지 산악회 활동하면서 사용하던 것으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제품은 메이커따라 가격차이가 많습니다.
윈드자켓은 요즘은 3웨이가 가볍고 비삽니다 특히 고어텍스 자켓은 자주 빨면 그 기능이 상실 됩니다.
세탁시 세탁기 사용은 절대 금물입니다.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재 풀어 바닥에 펴 놓고 손으로 살짝 닦아 주세요 깨끗이 행구고 나서 옷걸이에 걸어서 직사광선이 없는 곳에서 말려 주세요
다운 파카도 자주 세탁하면 좋지 않습니다.
세탁시 전문 세탁소나 아니면 집에서 미지근한 물에 세재 풀어 살살 문질려 주세요 다운이 한쪽으로 뭉치면 바닥에 펴 놓고 다운을 살살 두드려 주세요
등산화는 산행하고 나서 신발안에 신문지을 넣어 주세요
침낭 보관은 펴 놓는것이 최고 좋습니다.
침낭을 침낭빽에 넣어 보관하면 기능이 감소 됩니다. 복원성이 떨어 집니다.
고어텍스 장갑도 세탁하지 말고 그냥 따듯한 방바닥에 펴 놓고 말리세요
아이잰은 물에 앃어 말리고 WD40 같은것으로 뿌려 주세요
저는 올해 덕유산에서 비박하면서 별괘적 촬영해 볼려고 합니다.
그래서 그에 맞는 장비로 업글했습니다.
건전지가 필요치 않는 완전 수동 린호프617 파노라마로 바꾸어 습니다.
혹시 설천봉 팔각정 밤에 문을 개방하는지 궁금합니다.
저안에서 하루밤 비박했으면 합니다.
기회가되어 산에서 뵙게되면 다시한번 감사의 말씀을 올리겠읍니다.
멋진 대작 많이 담으시는 아름다운 겨울 되시길요~!
저도 올 겨울 덕유산과 태백산을 노리고 있습니다.
항상 보온에 신경을 쓰시길...
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향적봉 대피소 창고에서 잠을 자본 경험도 있네요 ^^
넘 추웠어요 ^^
스크렙해놓겠습니다.
겨울 출사 때 초보인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될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출입금지이므로. 비박은 금지이니다
출입금지이므로. 비박은 금지이니다
대작 많이 담으시길..
강좌란으로 이동합니다~^^
겨울산은 대충 넘어가면 낭패볼수 있다고 하네요..
저도 한번 가보려구 합니다~~
힘들고 어려운 겨울 산행을 위한 준비에 세심한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올겨울에 비박으로 별궤적을 한 번 담아보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작품 담으시길...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107 | 사진한장 이야기 | 메모리카드가 16 그램? 단위의 올바른 표기법 [6+3] | 792 | 0 | 2013-01-18 | |
106 | 사진한장 이야기 | 메모리카드 속도 표기에 관하여 | 812 | 0 | 2013-01-17 | |
105 | 처리/손상철 | 픽쳐스타일이 로우파일에 적용이 되는가~? [18+6] | 177 | 0 | 2013-01-14 | |
104 | 雨野/韓玄雨 | 입문 안내 - 별 사진 찍는 방법 [22+1] | 100 | 0 | 2012-12-21 | |
103 | 엔죠 | 부산불꽃축제 사진촬영기법 [39] | 2090 | 0 | 2012-10-28 | |
102 | 새벽바람™/임헌용 | [토막강좌] 단풍 또는 개화시기에 관한 상식 [5] | 877 | 0 | 2012-10-22 | |
101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상식] 대륙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23] | 796 | 0 | 2012-09-24 | |
100 | 새벽바람™/임헌용 | Hyperfocal Distance(과초점거리) 한방에 해결 [27+2] | 1230 | 0 | 2012-08-23 | |
99 | LimCD | 카메라 Flash의 모든 것 [17] | 1214 | 0 | 2012-06-25 | |
98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예측 실예 [29] | 931 | 0 | 2012-06-01 | |
97 | 雨野/韓玄雨 | raw 파일과 후보정 - 입문 안내 [15] | 769 | 0 | 2012-04-17 | |
96 | 발도제/윤석현 | 해운대 마천루 - 고수들은 클릭하진 마세용.. 다아시는 것입니당..ㅎㅎ [6] | 801 | 0 | 2012-03-30 | |
95 | 雨野/韓玄雨 | 쨍한 사진과 부드러운 사진-입문 안내 [54+5] | 850 | 0 | 2012-03-16 | |
94 | 곰탱푸우 | 과초점거리 수정본 입니다.....^^;;(피사계 심도라고 올려서 혼동된점 죄송합니다.) [19+15] | 726 | 0 | 2012-03-06 | |
93 | 용작가/박경용 | [안드로이드 어플소개] 일출 사진 촬영의 동반자, Sundroid [17+1] | 876 | 0 | 2012-02-16 | |
92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 상식] 이슬점 온도 [38+4] | 835 | 0 | 2012-01-15 | |
91 | 클라이머 이인표 | 겨울산악출사 준비물 [27] | 626 | 0 | 2011-12-12 | |
90 | 새벽바람™/임헌용 | [촬영 팁] 다중 촬영의 응용 [46+7] | 1208 | 0 | 2011-10-31 | |
89 | 호세/최종수 | 아이폰으로 내 사진에 GPS정보 넣기 [5] | 630 | 0 | 2011-10-28 | |
88 | 雨野/韓玄雨 | 사진은 셔터의 미학이다-입문 안내 [50+3] | 673 | 0 | 201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