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012년 6월1일 현재시각 21시20분입니다.
기상청의 기상예보 중 관측자료에 몇개의 도시에 "박무"가 나타나고
대다수 도시에 "구름많음"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 많은 구름이 지나가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죠?
물론 이자료 하나 가지고 판단하면 안됩니다. 날씨는 흐름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3~4시간 전 자료도 살펴서 지속성인지 단발성인지를 우선 본 후에 구름사진으로 갑니다.
구름사진은 기본영상만 보면 절대, 절대 안됩니다.
구름은 높이와 구름의 밀도, 물방울의 크기 등에 따라 적외선, 가시광선 등 각기 다른 파장의
전파에 반응하기 때문에 합성영상과 강조영상을 봐야 합니다.
기본영상은 잘 발달된 구름만 영상에 나타나고 낮은 구름 등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위 영상은 17시15분의 적외강조영상입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영상은 약 3시간의 이동 모습을 15분 간격으로 보여줍니다.
이 영상의 스크롤을 움직여 이동 모습을 관찰하는데
이동 방향, 이동하면서 구름이 짙어지는지 옅어지는지, 퍼져나가는지, 모아지는지 등을 세심히 살펴야 합니다.
이 영상은 같은 강조영상이지만 20시45분의 영상입니다.
위 영상과 비교하면 약간 짙어지면서 동으로 거의 수평이동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전국에는 구름은 더 많아지고 일출시간인 8시간 후의 모습을
대충은 짐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기상은 그 흐름을 파악해야 하고 한두가지 자료를 가지고 판단하면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이 자료를 올립니다.
이외에도 명일 날씨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각종 자료를
총망라해서 봐야하고 각 항목의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해야만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그동안 각종 자료, 강의를 했지만 그 정도 잠시 보고 들어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꾸준히 자료를 찾아보고 실제와 비교하면서 공부해야만 합니다.
그렇게 해도 생활기상과 달리 사진을 위한 기상판단의 정확도는 30~40%를 넘기 어렵습니다.
그만큼 변수도 많고 변화가 많은 것이니 풍경사진을 계속할 생각이면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지난번에 청장님 강의 내용이 상기됩니다 *^_^*
어렵습니다.선생님의 강의를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그런 바램을 가져봅니다가르침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
그러니까 운칠기삼이 되겠네요.
청장님 말씀듣고 오늘은 방콕을 하고 있습니다.
청장님 말씀듣고 오늘은 방콕을 하고 있습니다.
소중한 강좌 감사 드립니다.
알아갈수록 어렵네요
기초 지식이 없어서 그런지 너무 어렵습니다.
공부를 하지 않아서 그렇겠지요. ?
위성영상은 봐도봐도 참 어렵다는걸 다시 한번 느낍니다. ^^*
늘 어려운 것 같습니다 ..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좋은정보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은 지시정보에 감사 전합니다.너무 유익한 지식전달인듯 합니다.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107 | 사진한장 이야기 | 메모리카드가 16 그램? 단위의 올바른 표기법 [6+3] | 792 | 0 | 2013-01-18 | |
106 | 사진한장 이야기 | 메모리카드 속도 표기에 관하여 | 812 | 0 | 2013-01-17 | |
105 | 처리/손상철 | 픽쳐스타일이 로우파일에 적용이 되는가~? [18+6] | 177 | 0 | 2013-01-14 | |
104 | 雨野/韓玄雨 | 입문 안내 - 별 사진 찍는 방법 [22+1] | 100 | 0 | 2012-12-21 | |
103 | 엔죠 | 부산불꽃축제 사진촬영기법 [39] | 2090 | 0 | 2012-10-28 | |
102 | 새벽바람™/임헌용 | [토막강좌] 단풍 또는 개화시기에 관한 상식 [5] | 877 | 0 | 2012-10-22 | |
101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상식] 대륙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23] | 796 | 0 | 2012-09-24 | |
100 | 새벽바람™/임헌용 | Hyperfocal Distance(과초점거리) 한방에 해결 [27+2] | 1230 | 0 | 2012-08-23 | |
99 | LimCD | 카메라 Flash의 모든 것 [17] | 1214 | 0 | 2012-06-25 | |
98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예측 실예 [29] | 931 | 0 | 2012-06-01 | |
97 | 雨野/韓玄雨 | raw 파일과 후보정 - 입문 안내 [15] | 769 | 0 | 2012-04-17 | |
96 | 발도제/윤석현 | 해운대 마천루 - 고수들은 클릭하진 마세용.. 다아시는 것입니당..ㅎㅎ [6] | 801 | 0 | 2012-03-30 | |
95 | 雨野/韓玄雨 | 쨍한 사진과 부드러운 사진-입문 안내 [54+5] | 850 | 0 | 2012-03-16 | |
94 | 곰탱푸우 | 과초점거리 수정본 입니다.....^^;;(피사계 심도라고 올려서 혼동된점 죄송합니다.) [19+15] | 726 | 0 | 2012-03-06 | |
93 | 용작가/박경용 | [안드로이드 어플소개] 일출 사진 촬영의 동반자, Sundroid [17+1] | 876 | 0 | 2012-02-16 | |
92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 상식] 이슬점 온도 [38+4] | 835 | 0 | 2012-01-15 | |
91 | 클라이머 이인표 | 겨울산악출사 준비물 [27] | 626 | 0 | 2011-12-12 | |
90 | 새벽바람™/임헌용 | [촬영 팁] 다중 촬영의 응용 [46+7] | 1208 | 0 | 2011-10-31 | |
89 | 호세/최종수 | 아이폰으로 내 사진에 GPS정보 넣기 [5] | 630 | 0 | 2011-10-28 | |
88 | 雨野/韓玄雨 | 사진은 셔터의 미학이다-입문 안내 [50+3] | 673 | 0 | 201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