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냉건조한 대륙고기압(한냉고기압)과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온난고기압)이 그것인데
이 즈음에는 서서히 대륙고기압이 남하하여 기온이 내려가게되고
복사냉각이 뚜렷하게 형성되어 안개가 자주 발생합니다.
그 외에 이동성고기압이 봄, 가을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맑은 날씨를 보이는 원인이 됩니다.
오늘 부터 서서히 대륙고기압이 남하해서 중부 이북지방은 영향권에 든 것으로 보입니다.
9월24일 아침까지 심했던 박무가 오후에는 많이 사라지고 맑은 공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남쪽까지는 영향이 덜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나 대륙고기압이 더 확장하면 그야말로
짙푸른 하늘을 보여줄 것입니다.
한편 지난 토요일까지는 약하나마 온난고기압인 북태평양고기압이 영향을 주고 있어서
아침기온도 많이 내려가지 않았습니다.
토요일 아침 일기도 입니다.
오늘 아침 일기도와 뚜렷하게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침기온이 많이 내려가면 운해가 깔끔하게 핀다고 얘기들을 하는데 사실은
기온이 내려가서 그런게 아니고 대륙성고기압이 한냉건조한 성질을 가져서
아침기온은 많이 내려가고 상대적으로 복사냉각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해가 잘 피는겁니다.
대륙고기압이 더 활발해질 때를 기다려서 금년 가을에 좋은 작품 많이 담으시기 바랍니다.
** 한냉고기압(대륙고기압) : 중국대륙 또는 시베리아 부근에서 발달한 고기압으로 대지가 냉각되어
차가운 기단이 형성된 것으로 겨울철 우리나라 날씨를 지배합니다.
온난고기압(북태평양고기압) : 북태평양부근에서 발달한 고기압으로 해양의 습기를 많이 머금어 고온다습한 것이 특징이며
여름철에는 우리나라까지 확장해서 여름 날씨를 지배합니다.
뭔 말씀인지 조금 이해가 갑니다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발달하여 우리나라로 이동하면 집에서 뽀삽 공부 하는게 낫다는 이야기 군요감사합니다
대륙고기압ᆢ요거 눈여겨보고 있어야겠습니다^^
청장님!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머리에 쏙 들어오는데요..^^*
조금은 간단명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기름값 아낄려면 기상도를 자주 살펴야겠군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두번세번 읽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더욱더 공부해야 겠습니다..
정보 감사 합니다..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107 | 사진한장 이야기 | 메모리카드가 16 그램? 단위의 올바른 표기법 [6+3] | 792 | 0 | 2013-01-18 | |
106 | 사진한장 이야기 | 메모리카드 속도 표기에 관하여 | 812 | 0 | 2013-01-17 | |
105 | 처리/손상철 | 픽쳐스타일이 로우파일에 적용이 되는가~? [18+6] | 177 | 0 | 2013-01-14 | |
104 | 雨野/韓玄雨 | 입문 안내 - 별 사진 찍는 방법 [22+1] | 100 | 0 | 2012-12-21 | |
103 | 엔죠 | 부산불꽃축제 사진촬영기법 [39] | 2090 | 0 | 2012-10-28 | |
102 | 새벽바람™/임헌용 | [토막강좌] 단풍 또는 개화시기에 관한 상식 [5] | 877 | 0 | 2012-10-22 | |
101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상식] 대륙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23] | 796 | 0 | 2012-09-24 | |
100 | 새벽바람™/임헌용 | Hyperfocal Distance(과초점거리) 한방에 해결 [27+2] | 1230 | 0 | 2012-08-23 | |
99 | LimCD | 카메라 Flash의 모든 것 [17] | 1214 | 0 | 2012-06-25 | |
98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예측 실예 [29] | 931 | 0 | 2012-06-01 | |
97 | 雨野/韓玄雨 | raw 파일과 후보정 - 입문 안내 [15] | 769 | 0 | 2012-04-17 | |
96 | 발도제/윤석현 | 해운대 마천루 - 고수들은 클릭하진 마세용.. 다아시는 것입니당..ㅎㅎ [6] | 801 | 0 | 2012-03-30 | |
95 | 雨野/韓玄雨 | 쨍한 사진과 부드러운 사진-입문 안내 [54+5] | 850 | 0 | 2012-03-16 | |
94 | 곰탱푸우 | 과초점거리 수정본 입니다.....^^;;(피사계 심도라고 올려서 혼동된점 죄송합니다.) [19+15] | 726 | 0 | 2012-03-06 | |
93 | 용작가/박경용 | [안드로이드 어플소개] 일출 사진 촬영의 동반자, Sundroid [17+1] | 876 | 0 | 2012-02-16 | |
92 | 새벽바람™/임헌용 | [기상 상식] 이슬점 온도 [38+4] | 835 | 0 | 2012-01-15 | |
91 | 클라이머 이인표 | 겨울산악출사 준비물 [27] | 626 | 0 | 2011-12-12 | |
90 | 새벽바람™/임헌용 | [촬영 팁] 다중 촬영의 응용 [46+7] | 1208 | 0 | 2011-10-31 | |
89 | 호세/최종수 | 아이폰으로 내 사진에 GPS정보 넣기 [5] | 630 | 0 | 2011-10-28 | |
88 | 雨野/韓玄雨 | 사진은 셔터의 미학이다-입문 안내 [50+3] | 673 | 0 | 201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