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년중 최고로 아름다운 여명과 노을을 담을수 있는 시기는
8~9월입니다.
물론 다른 계절에도 좋은 노을이 나오기도 하지만,
이시기 에는 하늘 전체가 붉게 물드는 좋은 장면이 많이 연출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그 좋은 장면을 담기위해 어떻게 할것인가~?
가장 손쉬운 방법은 매일 달리는 것입니다~ㅋ
그러나~?
우리네 삶이 매일 달릴수 있도록 놓아주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예측 능력이 필요한 것인데,
어떠한 잣대로 가능성을 점칠것 인가~?
누구나 한번쯤은 부딛혀 보는 주제인거 같습니다.
보통은 하늘을 올려다보고 결정을 하는데,
일몰노을의 경우는 가능한 것일 겁니다.
그러나~여명의 노을은 하늘이 깜깜할때 달려야 하므로~
다른 예측 관찰정보가 필요 합니다.
바로 위성사진입니다.
실시간 위성사진으로 현재의 하늘상태를 대략 점칠수 있는것입니다.
물론 확률은 반반 정도 입니다.
그러나 간혹 오늘은 분명하다~! 라고 할수 있는 날도 있습니다.
먼저 노을이 생기는 원리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에서 보듯 지구는 둥글고 해가 동쪽에서 올라옵니다.
노을이 생기기 위해서는 햇빛이 가리지 않고 지,수평선을 통해 통과한 빛이
그위의 구름 아래쪽에 반영이 생기면서 노을이 형성이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동쪽(일출시)의 먼 하늘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위성 사진으로 보시면 이런날은 틀림없습니다.
부산기점에서 볼때 위그림과 같이 바로 위는 구름이 옅게 깔려 있고,
먼 동쪽(해 뜨는쪽)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틀림없는 여명이 나옵니다.
위 위성사진을 보인 같은 날의 참고 사진입니다.
(사진은 무시로/최진유님의 작품입니다)
그 위성사진을 단면으로 보시면 위의 그림과 같은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 그림에서 보시듯~
구름이 멀리까지 뻗어 있으면 구름층이 두터워 빛이 가려져 노을이 생기지 않고
구름위에 노을이 생깁니다.
이런 경우는 우리가 하늘 위에서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볼수 있는 장면입니다.
이렇게 원리를 이해하고,
위성사진을 보면서 미리 예측을 하면서 점점 더 높은 확률로써,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것과 함께,
이런 경험에 의한 노하우를 후배들에게 물려 줌으로써
우리 사진계는 더욱 밝고 희망찬,,그리고 행복한
삶으로 인도하게 될것입니다~~^^
**사진을 하는 곳은 어느곳 이던 퍼 가셔도 됩니다~^^
단 출처나 링크를 통해 원소재지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꾸준히 익혀보고 공부해 봐야곘습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소중하고 귀한 정보 감사 드립니다,
늘 감사 합니다
항상 아낌없이 베풀어 주시는 대장님!! 년중 내내 복 많이 받으세효~~~^^*
이제 노을을 찍으러 가면 되겠네요.ㅎㅎ
정보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히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대단히 감사합니다..
소중한정보 감사드립니다....
-
고득수 2017.10.08(일) 오후 02:32:33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59 | 처리/손상철 |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눈 사진 담기 [14] | 392 | 0 | 2025-02-23 | |
58 | 처리/손상철 | 눈사진 담기 [25] | 39161 | 0 | 2023-01-10 | |
57 | 처리/손상철 | 간혹~이런 생각을 합니다.(마지막) [21] | 39682 | 2 | 2022-12-02 | |
56 | 처리/손상철 | 간혹? 이런 생각을 합니다...(2) [17+1] | 39443 | 3 | 2022-12-01 | |
55 | 처리/손상철 | 늦반디 촬영방법 [9] | 44459 | 0 | 2022-10-04 | |
54 | 처리/손상철 | 장노출시 ND필터 사용예 [23+1] | 47508 | 1 | 2022-07-19 | |
53 | 처리/손상철 | 장노출 촬영시 노이즈에 대한 고찰 [20] | 46923 | 1 | 2022-07-15 | |
52 | 처리/손상철 |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16+1] | 47623 | 0 | 2022-07-08 | |
51 | 처리/손상철 | 후보정과 사진~~ [20+1] | 50879 | 0 | 2021-07-31 | |
50 | 처리/손상철 | 은하수 파노라마 촬영과 후보정 [22] | 643 | 0 | 2018-10-12 | |
49 | 처리/손상철 |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30] | 51095 | 0 | 2018-06-25 | |
48 | 처리/손상철 | 간단 위성영상 보는법 [12] | 136 | 0 | 2018-01-19 | |
47 | 처리/손상철 | 왜~? ISO100을 고집하시나요..... [50] | 50519 | 0 | 2017-07-08 | |
46 | 처리/손상철 | 불꽃촬영 한컷으로 담는방법~ [16] | 49607 | 0 | 2016-10-28 | |
45 | 처리/손상철 | 별단컷 (은하수)촬영하기,,, [32+1] | 50334 | 0 | 2016-03-15 | |
44 | 처리/손상철 | 파노라마의 또 다른 촬영방법 [54] | 49606 | 0 | 2014-04-13 | |
43 | 처리/손상철 | 별궤적 후보정 하는법 [41+6] | 49276 | 0 | 2014-03-24 | |
42 | 처리/손상철 | 의식과 무의식,,, [25+1] | 49185 | 0 | 2013-03-26 | |
41 | 처리/손상철 | 삼각대와 손각대에 대해 [104+2] | 49764 | 0 | 2013-01-08 | |
40 | 처리/손상철 | 사진은 구도가 최우선이다. [101+6] | 50013 | 0 | 201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