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과거~~
별궤적을 주로,,장시간 인터벌로 담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저는 점차 단컷 촬영만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별궤적은 거의 비슷한 촬영이 되고,
합성을 해야만 만들어지고,
우리의 눈으로본 것과는 상이한 그림이 되며,
강렬한 느낌만 있는데 반해~
단컷촬영은 일단 촬영하기가 편하고,
밤 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눈으로 본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며,
신비 스럽고,,,잔잔한 감동의 표현이며,,,,,
부제를 정하여 촬영하는 표현의 폭이 넓다는 겁니다.
각설하고,
준비물은~
아무래도 넓은 하늘을 잡는 것이라 광각이 유리하니,
렌즈는 F2.8이하의 밝은 어안이나 초광각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일반 릴리즈(없는 경우는 타이머를 사용해도 됩니다)
삼각대는 필수~~겠지요~^^
촬영전에 먼저~~밤하늘을 보고~방향을 잡고,,,
밤하늘을 바라보면,,,
우리나라 같은 경우, 여름밤에 별이 더 많이 보입니다.
특히~~서남쪽에 별이 가장 많이 보이고~~
그 위에 북동방향으로 펼쳐진 은하수를 볼수 있습니다.
단컷에 있어 은하수는 최고의 장면을 보여 줍니다...
보통 시기적으로는 3월 중순경이면 새벽에 낮은 은하수를 볼수 있습니다.
기간이 지나면서 점차 은하수의 출현시기가 당겨지고~
또한 각도도 높아지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6월경이면 은하수의 각도도 이른 새벽엔 80도까지 올라가면서,
좋은 그림을 보여줍니다.
9월 이후는 이른 밤에 나타나며, 각도가 높아서,
단컷을 담기에는 좋은 그림이 됩니다.
즉~~3~6 사이엔 주로 비스듬한 각도로 보일경우가 많고,
7~9월엔 거의 수직으로 서 있는 은하수를 볼수 있게 됩니다.
은하수 어플을 폰에 깔아서 보면 아주 유용합니다.
그리고 촬영을 하기 위해 먼저 구도를 보아야 겠지요,,,
궤적을 담을때나 마찬가지로,
주제와 부재를 조화롭게 넣어야 하겠지요~
좌우 힘의 균형을 맞추고,
밤하늘의 별이 우선이니 별을 3/4 혹은 4/5정도로 많이 넣고,
하단에 나머지 부분에 부재를 넣어서,
촬영을 하면 됩니다.
촬영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셔텨속도 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는~
13초~25초 정도가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30초 이상으로 노출을 줄 경우 별이 움직여서 끄여지기(궤적이 생기기) 때문 입니다.
그런 경우 후보정을 해 보면 분위기가 밸로 입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빠른 셧속이 필요합니다.
*밤하늘이 어두워서 도저히 안 될경우는 30초 까지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데?
그정도의 셧속으로 밤하늘의 단컷을 담기 위해서는~
당연히 ISO를 많이 올려야 합니다.
보통 2500~3200까지 올려야 합니다.
물론~~! 그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밤하늘이 어두울 수록~별은 많이 보이지만,
카메라에 담기 위해서는 감도를 그만큼 올려야 하는 겁니다.
ISO 3200 이상 올리지 말라는 것은,
그 이상 올릴경우 노이즈가 너무 많이 생겨 후보정을 해보면,
작품으로 대형인화를 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ISO는 3200이하,
셧속은 25초 이하,
최소 f2.8 이하,
조리개는 최대개방을 합니다.
이유인즉~~!
단컷의 분위기가 극대화 되기 위해서는 별이 좀 소프트 한 것이 좋습니다.
또한 셧속을 빨리 하기 위한 방편 이기도 하고~
그렇게 촬영한 파일은,
후보정시~
별은 소프트하게 표현키 위해 가우시안 블러등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부제(혹은 주제)는 핀이 맞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한장의 파일을 두개의 레이어로 하여 (하나는 쨍! 하게 하나는 소프트하게)
나뉘어서 두 파일을 레이어로 조절하여 하나로 표현 하는 겁니다.
생각보다 단순하니,
금방 이해가 갈 겁니다.
그리고~~!
그 파일을 가지고~회오리보정도 가능한 겁니다.
별회오리 만들기 강좌 가보기
별 단컷촬영~~!
잠시 시간을 내면 가능하니,,,
이왕 출사를 가는 김에 조금 더 빨리 현장에 도착하거나~
미리 도착해서 남들과 차별화되는 작품을 담아내시기 바랍니다~~^^
9장 파노라마 은하수 사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강좌 감사합니다.
정보 주시니 멋지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마지막 사진은 저도 혼자 놀러 갔던 수향마을 이네요. 똑같은 곳에서 저는 낮에 담은 사진이 있어요.ㅎㅎㅎ
항상 잘배움니다 고맙습니다.
-
박원각 2016.03.28(월) 오전 01:38:38
감사합니다
얀녕하세요.남해의 밤하늘도 참 이쁩니다.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함 시도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별의 보케 색으로 별의 온도를 알수 있다죠. 아름다운 별의 세계 탐험이 기회기 생기도록 기원해 보면서 정독 하고 갑니다.
좋은정보 감사드림니다.......
초보라..어렵네요~그래두 열심히 담아볼께요~ㅎ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대장님~ 감사합니다.
수고하신 정보에 감사함을 몽땅 내려 놓습니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59 | 처리/손상철 |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눈 사진 담기 [14] | 383 | 0 | 2025-02-23 | |
58 | 처리/손상철 | 눈사진 담기 [25] | 39157 | 0 | 2023-01-10 | |
57 | 처리/손상철 | 간혹~이런 생각을 합니다.(마지막) [21] | 39676 | 2 | 2022-12-02 | |
56 | 처리/손상철 | 간혹? 이런 생각을 합니다...(2) [17+1] | 39440 | 3 | 2022-12-01 | |
55 | 처리/손상철 | 늦반디 촬영방법 [9] | 44458 | 0 | 2022-10-04 | |
54 | 처리/손상철 | 장노출시 ND필터 사용예 [23+1] | 47503 | 1 | 2022-07-19 | |
53 | 처리/손상철 | 장노출 촬영시 노이즈에 대한 고찰 [20] | 46920 | 1 | 2022-07-15 | |
52 | 처리/손상철 |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16+1] | 47619 | 0 | 2022-07-08 | |
51 | 처리/손상철 | 후보정과 사진~~ [20+1] | 50878 | 0 | 2021-07-31 | |
50 | 처리/손상철 | 은하수 파노라마 촬영과 후보정 [22] | 634 | 0 | 2018-10-12 | |
49 | 처리/손상철 |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30] | 51090 | 0 | 2018-06-25 | |
48 | 처리/손상철 | 간단 위성영상 보는법 [12] | 135 | 0 | 2018-01-19 | |
47 | 처리/손상철 | 왜~? ISO100을 고집하시나요..... [50] | 50512 | 0 | 2017-07-08 | |
46 | 처리/손상철 | 불꽃촬영 한컷으로 담는방법~ [16] | 49606 | 0 | 2016-10-28 | |
45 | 처리/손상철 | 별단컷 (은하수)촬영하기,,, [32+1] | 50329 | 0 | 2016-03-15 | |
44 | 처리/손상철 | 파노라마의 또 다른 촬영방법 [54] | 49605 | 0 | 2014-04-13 | |
43 | 처리/손상철 | 별궤적 후보정 하는법 [41+6] | 49275 | 0 | 2014-03-24 | |
42 | 처리/손상철 | 의식과 무의식,,, [25+1] | 49183 | 0 | 2013-03-26 | |
41 | 처리/손상철 | 삼각대와 손각대에 대해 [104+2] | 49762 | 0 | 2013-01-08 | |
40 | 처리/손상철 | 사진은 구도가 최우선이다. [101+6] | 50010 | 0 | 201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