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2022-07-08 10:36:46
처리/손상철 17 47,621
■ 출사코리아 운영자 ㅊㅓ ㄹㅣ 입니다. 출사코리아는 사진정보의 무한공유를 그 목적으로 하고, 나눔의 열린장 으로 사진을 하는 모든이 들이 공감하고 동참하는 곳입니다. 배우고자 하는 이,,, 그리고 나누고자 하는 이,,,그들 곁에 출코가 있습니다~!! ㅊ ㅓ ㄹ ㅣ 갤러리 : http://chulsa.kr/acterson 네이버 카페(흙집짓기) : http://cafe.naver.com/brownh596l 메일 : acterson@naver.com

이글을 올린다고 하는게, 차일피일 하다가, 몇 분의 요청이 있어

비오는 날 잠시 시간을 내어 글을 적습니다. 늦어진 점 양해 바랍니다.

 

~~~~~~~~~~~~~~~~~~~~~~~~~~~~~~~~~~~~~~~~~~~~~~~~~~~~~~~~~~~~~~~~

 

장노출사진 이란 무엇인가?

단순히 생각하면 셔터타임을 길게 주어서 담는 사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과연 셧속 몇초 정도가 장노출이냐? 라고 묻는다면 약간 난해 해 진다.

일반적으로 찍는 사진은 1/60sec정도 이상을 말한다.

 

셧속이 느려지면 움직이는 물체는 흔들리게 되는데...

이때부터가 장노출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러나 통상은 2초 이상으로, 셧속이 현저히 느려질때 우리는 장노출이라고 표현을 한다.

 

그러면 장노출에서 최대는 몇시간까지 가능할까?

제대로 된 사진을 담을수 있는 최대 시간은~~?

어떤이들은 nd필터를 이용하여 4~5시간씩 담는 경우도 보았다. 물론 이런경우는 필카로 담는 경우이다.

 

필자는 디카로 1시간반 정도 까지는 담아 보았다.

어떤이는 노이즈 때문에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을 한다. 

필카의 특성상 5분이상 장노출시 열화도 현상으로 핫픽셀이 발생을 한다.

핫픽셀은 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제거를 하면 된다.

그러나 데드픽셀이 생기면 그것은  CCD를 교체하지 않는 한 없앨 수 없다.

핫픽셀은 주로 붉은색과 푸른색으로 나타나고, 데드픽샐은 검은 색으로 나타나니 참고 하시기 바란다.

 

이 핫픽셀도 예전에는 서비스센터에 가서 제거를 하였는데,

지금 나오는 신기종들은 상당수가 카메라를 껏다켜면 자동으로 클리닝기능이 실행이 되어 없어진다.

 

현재 필자가 지금 사용하도 있는 소니미러리스는 ISO 50으로 하고 한시간 전후로 장노출을 담아도 노이즈는 전혀 생기지 않는다.

그만큼 카메라의 기술들이 좋아진 까닭이라 보겠다.

 

각설하고~~아래 사진을 자세히 보아 주시기 바란다.

 

image

그림을 보시면 바위와 함께 안개가 낀듯 아련한 분위기에 푸르른 이끼가 좋은 느낌을 더해주고 모델이 바닷길을 걸어나오는 모습이다.

언듯보면 그냥 장노출로 담기만 하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실은 엄청난 각고의 노력끝에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처음부터 하나씩 그 촬영에 대해 통찰을 해보자.

 

먼저~장소를 물색해야 한다. 바다는 조수간만의 차가 있어 물이 빠졌을 때와 만조가 되었을 때 분위기만 보고는 도무지 판단이 안된다.

그래서 중간정도 물이 들었을때 어떤 느낌이 되는지 잘 관찰 하여야 한다.

마음에 드는 장소 하나를 물색하기위해 여러번 답사를 해야 한다.

 

그리고 바다라는 특성상 안으로 들어 갈수록 깊어지니 ~측면에서 본다면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사면 때문에 단순히 한장으로 완성된 작품을 만들기가 어려운 것이다.

 

 

image

쉽게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 그림에 색갈로 표시를 하였다.

만조를 기준으로, 붉은 색은 수심이 1m이상 깊은지역, 녹색은 50cm 미만지역, 푸른색은 중간지역이다.

 

포인트에 따라 깊이의 단차가 이보다 물론 더 심한곳도 있고 적은 곳도 있다.

깊이의 단차가 적은 포인트는 셧속의 타임을 길게하여 담아도 문제가 없으나,

깊이의 단차가 큰 곳은 셧속을 줄여서 여러장으로 나누어야 제대로 표현이 된다.

 

사진을 담을 때는 주로 물이 빠져서 간조때 부터 혹은 그 화각의 하단부분에 물이 들어올 때 부터 시작을 한다.

왜냐면 만조시는 전체가 물로 덮혀 있어서 화각자체를 알 수 가 없기 때문이다.

화각의 가장 낮은곳에 물이 들때부터 시작을 하는데,,,,이는 간만차가 약하면 그림을 만들 수 없다는 얘기 이기도 하다.

 

그래서 통상 5물정도 부터 일주일 정도가 적당하다는 것을 아셔야 한다.

이 물때라는 것은 음력 즉 달의 크기에 따라 달의 인력으로 조수간만차가 생기기에 물때를 알수 있는 음력을 봐야하며,

조고차가 가장 큰 때가 8,9물이며, 하루에 대략 50분씩 늦어짐을 인지 해야 한다.

물때는 바다타임(클릭)에 가서 보시면 간단히 알수 있다.

 

 

그리고 안개가 낀 듯 부드러운 분위기가 되기 위해서는,

파도가 높은 날이어야 하얗게 포말이 일고 그 포말이 장노출로 담을시 안개와 같은 부드러운 분위기가 된다.

단차가 클 경우는 깊은 곳에 물이 들기 시작할 때 담기 시작하여 한시간 이상 담아보면,

뒤에 담긴 포말에 의해 앞에 담은 깊은곳의 디테일들은 모두 지워져 버리게 된다.

 

그래서 필자가 여러번의 시도 끝에 찾은, 가장 적절한 타임이 30분 전후이다.

포인트에 따라 30분 3장, 혹은 4장이나 5장이 될 수도 있다.

위 그림은 26분 4장을 담아서 한장으로 합성한 그림이다.

 

또 한가지~!

가장 먼저 작업을 해야 할것이 바로 연출이다.

연출 없이 그냥 바위와 파도 자연그대로 담을것이면 상관 없지만,

인물을 넣는다면 장노출 시작전 미리 담아 놓아야 한다,.

물론 화각을 미리 잡아서 고정한 채로 담아야 한다.

 

모델을 담을때도 정지 화면으로 담을 것이냐 혹은 동감이 느껴지게 셧속을 조금 느리게 하여 담을 것인지,

판단을 해서 담아야 한다.

필자의 경험상으로는 1/6초 정도가 적당 하였다.

물론 이도 옆으로 걸어가느냐 앞으로 오느냐에 따라 셧속을 달리해야 한다.

 

위 그림을 담을 때 3번의 시도를 하여 완성한 그림인데...

이유인즉~~nd필터를 끼우고 타임을 잘 조절 하여야 하는데, 타임조절의 실패도 있을수 있고,

또 핀조정후 nd필터를 끼우면서 핀이 흐트러 질수도 있고~

또한 강한 바람으로 인해 카메라가 흔들려서 문제가 된 경우도 있었던 것이다.

또 한번은 그날의 물때 시간상 만조에서 부터 시작을 하게 되어 물만 보이는 상황에서 화각을 잡고 담았으나,

물이 빠지고 나니 화각이 맞지 않았던 경우도 있었다.

어떨때는 다 담아가는데....눈이 와서 렌즈가 젖어 버리니 다 된밥에 코 빠지는 격이 되기도 했다.

 

주로 담았던 제주 북동 해안은 파도가 많이 이는 철이 겨울이기에 혹한의 칼바람과 눈과 싸워야 하는 어려운 촬영이다.

그것도 핀을 맞추고 nd필터를 끼우고 시간계산을 하고....

어느날은 카메라를 작동 시키고 나오다가 강한 바람에 몸이 붕떠서 바위아래로 떨어진 적도 있었다.

다행이 밑에 나무가지가 무성하여 거기에 걸쳐져서 멍만 좀 들기도 했다.

물론 카메라는 바람을 이기기 위해 무게추로 8kg의 아령을 매달아서 사용을 하였다.

 

그리고 nd 필터를 사용할때 시간 계산을 하는것이 까다로운데,

앱이 출시가 되어 있어 편히 사용할 수 있다.

ND 필터계산 - Google Play 앱

 

 

nd필터는 8,16, 100,400,1000등이 있으면 좋고~

필자는 가변필터를 적절히 활용하여 간단히 촬영을 한다.

 

즉 30분 촬영을 할려면, 러닝타임 1800초 이다.

먼저 화각을 맞추고 핀을 조절후 핀조정을 수동으로 돌린 다음,

가변필터로 1.8초에 정노출이 되게 조절을 한다. 그리고 노출을 무한대로 한다음,

가변 필터+nd1000을 장착하면 1800초 정노출이 셋팅이 된다.

 

지금 같이 여름인 경우는 태풍이 오거나 할 때 파도가 높은 날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열거한 저의 경험을 토대로 여러분께서는 더 나아가는 작품을 만들어 보시길 바란다.

 

~~~~~~~~~~~~~~~~~~~~~~~~~~~~~~~~~~~~~~~~~~~~~~~~~~~~~~~~~~~~~~~~~```

 

*머리속 정리를 하여 글을 쓴다는 것이 점차 어려워짐을 느낍니다.

중구난방 글이 순서 없이 작성이 된바,  참고 하시고 봐 주시기 바랍니다~^^

 

 

 

 

 

 

 

 

 

 


 

17Comments
사진한장 이야기 2022.07.08(금) 오후 09:28:05
저도 이런 류의 사진을 많이 찍어 보았지만, 이런 대작 작품 1장을 만들기 위해 장소 정보를 검색하고, 물 때를 챙기고, 몇 장의 장노출 사진을 찍고, 모델은 별도로 찍고, 그리고 그 모든 것을 합성해 내신 엄청난 실력(내공)과 노력... 그 노고에 감사 드립니다. 사진은 과학입니다.
(홀스타인)박무길 2022.07.08(금) 오후 09:34:33
보이는 대로 박는다는기
터라구 빠져유 ㅠ ㅠ ㅠ ㅠ
南松 *한종수 2022.07.08(금) 오후 09:37:59
수고많았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태권V(權宗垣) 2022.07.08(금) 오후 09:49:14
한번 도전 해 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대장님^^
마 루 2022.07.09(토) 오전 05:07:12
수고 많으셨습니다
유익한 강좌 감사합니다
무시로/최진유 2022.07.09(토) 오전 05:55:29
참으로 어려운 작업이네요.
감동입니다.
虎乭 2022.07.09(토) 오전 06:58:17
강좌 감사합니다.
근보(勤補) 2022.07.09(토) 오전 08:45:03
공부하고갑니다.
금강송/권병진 2022.07.09(토) 오전 08:53:49
공부 많이 하고 갑니다.
聖田 2022.07.09(토) 오전 09:32:12
몰입해서 읽고 또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초원 ( 草原 ) 2022.07.09(토) 오후 01:31:08
좋은강좌 숙지하여 더나은 장노출 에 도전할가 합니다
빛놀이67 2022.07.10(일) 오후 01:15:55
강좌 감사드립니다
현암(玄巖)/양방환. 2022.07.10(일) 오후 03:11:10
다음 제주도에 가면 시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시골의사/ 김윤곤 2022.07.11(월) 오후 03:00:03
사진공부 잘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나도 도전 하고 싶어지는데
쩐이 없어서 장비를 구하지 못해서.....ㅠㅠㅠ
여수김 2022.07.18(월) 오후 11:19:42
가변 필터로 1.8초에 설정하고 노출을 무한대로 한다는 말이 무슨 뜻 인지요 궁금 합니다 혹시 자세한 설명 또는 스케치 등을 부탁 드립니다
  • 처리/손상철 2022.11.11(금) 오전 06:27:34
    안 그래도 헷갈수도 있겧다 생각했 습니다.
    셔터타임1.8초로 그대로 찍으면 1.8초로 찍히니 카메라 설정을 B셔터로 하고(제조회사에 따라 다 다르니 참고하세요)유선 릴리즈로 1800초 설정하여 찍는다는 얘기 입니다.
보짱™/권영우 2022.07.22(금) 오후 01:42:17
감사합니다
덕분에 멋진 공부하고 갑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정회원 이상만 코멘트 쓰기가 가능합니다.
총 게시물 59개 / 검색된 게시물: 59개
글번호   작성자 제목 조회수 작성일
59 thumbnail 처리/손상철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눈 사진 담기 [14] 384 0 2025-02-23
58 thumbnail 처리/손상철 눈사진 담기 [25] 39157 0 2023-01-10
57 thumbnail 처리/손상철 간혹~이런 생각을 합니다.(마지막) [21] 39677 2 2022-12-02
56 thumbnail 처리/손상철 간혹? 이런 생각을 합니다...(2) [17+1] 39441 3 2022-12-01
55 thumbnail 처리/손상철 늦반디 촬영방법 [9] 44459 0 2022-10-04
54 thumbnail 처리/손상철 장노출시 ND필터 사용예 [23+1] 47505 1 2022-07-19
53 thumbnail 처리/손상철 장노출 촬영시 노이즈에 대한 고찰 [20] 46922 1 2022-07-15
52 thumbnail 처리/손상철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16+1] 47621 0 2022-07-08
51 thumbnail 처리/손상철 후보정과 사진~~ [20+1] 50879 0 2021-07-31
50 thumbnail 처리/손상철 은하수 파노라마 촬영과 후보정 [22] 634 0 2018-10-12
49 thumbnail 처리/손상철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30] 51093 0 2018-06-25
48 thumbnail 처리/손상철 간단 위성영상 보는법 [12] 135 0 2018-01-19
47 thumbnail 처리/손상철 왜~? ISO100을 고집하시나요..... [50] 50514 0 2017-07-08
46 thumbnail 처리/손상철 불꽃촬영 한컷으로 담는방법~ [16] 49607 0 2016-10-28
45 thumbnail 처리/손상철 별단컷 (은하수)촬영하기,,, [32+1] 50329 0 2016-03-15
44 thumbnail 처리/손상철 파노라마의 또 다른 촬영방법 [54] 49605 0 2014-04-13
43 thumbnail 처리/손상철 별궤적 후보정 하는법 [41+6] 49276 0 2014-03-24
42 thumbnail 처리/손상철 의식과 무의식,,, [25+1] 49183 0 2013-03-26
41 thumbnail 처리/손상철 삼각대와 손각대에 대해 [104+2] 49762 0 2013-01-08
40 thumbnail 처리/손상철 사진은 구도가 최우선이다. [101+6] 50012 0 2012-07-05

본 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사진과 글은 저작권자와 상의없이 이용하거나 타사이트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사진의 정확한 감상을 위하여 아래의 16단계 그레이 패턴이 모두 구별되도록 모니터를 조정하여 사용하십이오.

color

DESIGN BY www.softgame.kr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