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풍경사진을 하면서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늘 만들게 되는 똑같은 작품들에 식상하게 됩니다.
그즈음 시작하는 것이 장노출 사진이며, 최근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장노출 사진이라면,,,,
은하수 촬영부터 별궤적, 오로라촬영, 바닷가 장노출사진등 상당히 매력이 있는 장르 입니다.
그 중에서도 5분이상~~때로는 한시간 이상 담아야하는 갯골사진, 바닷가사진, 해궤적 장노출 등,
특수한 촬영으로 멋진 그림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매력 만큼이나 아쉬운 것이 바로 장노출 촬영시 생기는 노이즈들 입니다.
은하수나 별사진등은 어두운 상태에서 밝게 담아야 하기에 ISO를 올리고 셧속은 줄여서 찍어야 합니다.
반면에 바닷가 장노출이나, 해궤적사진인 경우는 반대로 ISO는 낮추고 시간을 길게, 셧속을 주어서 담아야 합니다.
보통 10분 정도 부터 한시간 이상 담아야 하는데...
DSLR의 촬영으로는 노이즈를 피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나~~요즘 대세를 이루고 있는 미러리스 카메라는 그 한계를 넘어 설 수 있습니다.
노이즈도 일반 노이즈도 엄청나지만, 장노출시 ccd에 생기는 열화도로 인한 컬러노이즈 입니다.
이것을 용어로는 핫픽셀이라고 하며, 한번 생기면 그자리에 남아있게 됩니다.
주로 붉은색이나 푸른색으로 나타나며,
10분 정도 노출을 주었을때 엄청나게 많은 노이즈가 발생 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생긴 컬러노이즈도 요즘 개발된 카메라들은 껏다켜면 자동으로 삭제가 됩니다.
예전에는 서비스센터에 가서 유료로 제거를 하였는데, 그렇게 카메라도 많은 발전을 하였습니다.
저도 장노출시 노이즈를 피할수 없다는 생각으로 촬영을 하던중~
어느날 아무리 긴 타임으로 담아도 노이즈가 안 생기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것을 출코자게에 올렸을 때 반론이 제기되고, 대부분 믿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상세하게 그부분에 대해 알려 드리고저 글을 올립니다.
위 그림은 ISO100/ 노출 약13분 정도 주었을때 생기는 노이즈 들입니다.
일반 노이즈도 많지만 붉은색과 푸른색으로 보이는 핫픽셀들이 상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전에 가지고 있던 캐논 DSLR 5Dmark2는 훨씬 더 심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파일을 가지고 대형 인화를 할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은 무립니다.
아래 그림을 보십시요~!
이 그림은 지난 겨울에 담은 제주에서의 장노출 사진중 하나입니다.
셧속을 한시간 이상주어 담은 그림입니다.
이때 시간 조절을 위해 ISO를 50으로 하여 촬영 했는데, 노이즈가 전혀 생기지 않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어두운 부분을 100%로 크롭을 한 모습입니다.
단 하나의 핫픽셀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 그림에서 보시다 시피, 차가운 겨울 날씨에 ISO를 50으로 하여 촬영시 핫픽셀은 발생치 않음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운 여름날에는 어떨까?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아무래도 핫픽셀이니 뜨거운 환경에서는 더 많은 발생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담아 본 그림입니다.(러닝타임 30분 좀 넘네요~)
언듯 보기에는 전혀 핫픽셀이 없어 보여서 100%로 확대를 해 보니 어느정도 핫픽셀이 생긴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원본크기 그대로 크롭한 아래 그림을 보십시요~
의자 등받이 부분등 어두운 곳에는 일부 핫픽셀이 발생 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 정도는 후보정시 커버가 되는 정도 이지만, 노이즈 제거 기능을 사용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카메라의 메뉴에서 "장노출시 노이즈제거" 기능을 켜서 30분 정도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아래 그림입니다.
100% 크롭한 그림에서 보시듯~핫픽셀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문제는 30분 촬영시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시간이 얼추 촬영한 시간만큼 소요가 되기에 추천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현장에서 사진을 지속적으로 담아야 하기에 맞지 않다는 것이지요...
위의 예제에서 보시듯~!
날씨가 기온이 낮을 경우는 ISO를 낮추고 촬영하면, 핫픽셀이 전혀 생기지 않는 다고 볼 수 있으며,
뜨거운 한여름에는 약간의 핫픽셀이 발생 한다는 것~!
그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장노출 사진은 미러리스카메라로 담는것이 아주 유용하다는 것이고,
저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니 알파7m3 로만 실험을 해 본 것이기에,
다른 카메라 즉 캐논이나 니콘의 미러리스는 어떨지 정확하게 알수는 없는 상황이니 참고 바라며,
여러분께서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기온이 30도를 넘어 갑니다.
더운날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참고 하겠읍니다---ㅎ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은 기계 발전이 놀라워서 많이 개선된 듯 합니다
또 시간이 흐르면 개선되겠지요
재가 쓰는 페이즈 원은 노이즈 제거 기눙이 있지만 촬영 시간 만큼 기다려야 하니 아쉽습니다.
저도 노이즈 문제로 고민을 많이 했는데 참고해 실험 해보겠습니다.
수고하셧습니다 ^^
더욱 매진하여 좋은작품으로 보답하겠습니다
제 5d m4는 제습함에서 자고 있습니다~~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59 | 처리/손상철 |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눈 사진 담기 [14] | 383 | 0 | 2025-02-23 | |
58 | 처리/손상철 | 눈사진 담기 [25] | 39157 | 0 | 2023-01-10 | |
57 | 처리/손상철 | 간혹~이런 생각을 합니다.(마지막) [21] | 39677 | 2 | 2022-12-02 | |
56 | 처리/손상철 | 간혹? 이런 생각을 합니다...(2) [17+1] | 39441 | 3 | 2022-12-01 | |
55 | 처리/손상철 | 늦반디 촬영방법 [9] | 44459 | 0 | 2022-10-04 | |
54 | 처리/손상철 | 장노출시 ND필터 사용예 [23+1] | 47505 | 1 | 2022-07-19 | |
53 | 처리/손상철 | 장노출 촬영시 노이즈에 대한 고찰 [20] | 46922 | 1 | 2022-07-15 | |
52 | 처리/손상철 |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16+1] | 47620 | 0 | 2022-07-08 | |
51 | 처리/손상철 | 후보정과 사진~~ [20+1] | 50879 | 0 | 2021-07-31 | |
50 | 처리/손상철 | 은하수 파노라마 촬영과 후보정 [22] | 634 | 0 | 2018-10-12 | |
49 | 처리/손상철 |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30] | 51093 | 0 | 2018-06-25 | |
48 | 처리/손상철 | 간단 위성영상 보는법 [12] | 135 | 0 | 2018-01-19 | |
47 | 처리/손상철 | 왜~? ISO100을 고집하시나요..... [50] | 50514 | 0 | 2017-07-08 | |
46 | 처리/손상철 | 불꽃촬영 한컷으로 담는방법~ [16] | 49607 | 0 | 2016-10-28 | |
45 | 처리/손상철 | 별단컷 (은하수)촬영하기,,, [32+1] | 50329 | 0 | 2016-03-15 | |
44 | 처리/손상철 | 파노라마의 또 다른 촬영방법 [54] | 49605 | 0 | 2014-04-13 | |
43 | 처리/손상철 | 별궤적 후보정 하는법 [41+6] | 49276 | 0 | 2014-03-24 | |
42 | 처리/손상철 | 의식과 무의식,,, [25+1] | 49183 | 0 | 2013-03-26 | |
41 | 처리/손상철 | 삼각대와 손각대에 대해 [104+2] | 49762 | 0 | 2013-01-08 | |
40 | 처리/손상철 | 사진은 구도가 최우선이다. [101+6] | 50012 | 0 | 201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