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불꽃사진을 담아본 누구던,,,
"참 찍기가 어렵다" 라고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이번에 저는 광각으로 시종 찍었는데,,
약간 크롭해서 아래와 같이 표현 했습니다.
물론 합성이 아닌 한 컷의 사진입니다.
<103초/F14>
*클릭~!
불꽃사진에 있어 최고의 그림은~
합성을 하지 않고 한 컷에 원하는 장면을 다 넣어서 표현하는 것일 겁니다.
그러나~!
그게 말이 쉽지 실제는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도전은 이어져야 겠지요~^^
그래서 먼저 불꽃촬영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배경사진을 밝게 담기위해서 필요한 노출을,, 계산해 놓습니다.
이때 조리개는 F14정도가 적당합니다.
왜냐면 큰불꽃의 궤적까지 담기위해서는 노출을 2~3초정도 주어야 하는데,,,
조리개를 개방할경우 너무 밝아서 노출오버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F14에 배경노출이 30초가 적정 노출 일경우~(이때 모드는 당근 벌브모드입니다.)
불꽃이 하나 올라오면 릴리즈를 눌러 락(Lock)을 하여 셔터를 개방합니다.
3초정도 담고 빛가리개로 렌즈를 가려서
노출을 차단합니다.
물론 셔터는 계속 개방 상태 입니다.
그리고 같은 장소에 올라오는 불꽃은 담지 않아야 하겠지요,,,겹치면 오버가 되니까~~!
계속 기다리다가 내가 원하는 쪽이나 높이가 다른 불꽃등이 올라오면,
빛 가리개를 열어 다시 빛을 받아 들입니다.
이때 열때마다 시간을 계산해야 합니다.
빛가리개를 열었을때만 계산을 하는 것이지요,,,,
3초로 4번을 개방해서 불꽃을 다 담았을경우~
합이 12초,,,,그러면 배경의 밝기는 어두울것이니 적정노출인 30초를 열어야 하는데,,,
불꽃이 올라오지 않을 때를 기다리는 겁니다.
한참 기다리면 불꽃을 안쏠때 빛가리개를 개방하여 남은 타임을 보충하여,
배경노출을 충족시켜주고 릴리즈락을 풀고 벌브모드를 마무리 하여 한컷을 담는 겁니다.
이렇게 담다보면 좋은 불꽃도 놓치기도 하고,,,
한장 담는데 3분정도 이상이 소요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가능하면 3분이내로 하는것이 CCD열화도로 인한 핫픽셀을 방지할수 있으니 차목하시고 담으시면 되겟습니다.
이때 변수는 불꽃이 강렬하면,
배경노출시간도 좀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30초로하면 오버가 될 가능성이 높으니 20~25초 정도로 마무리하면
거의 노출이 맞아 떨어집니다.
그렇게 한시간을 담아도~~전체 컷수는 불과 열몇컷 뿐입니다.
아쉽게 지나버리는 그림이 많지요,,,,
하지만~~
그런 부분을 감내하고 노력하는자 만이,,,
최고의 그림을 담을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참고 하시고~~
내년엔 불꽃축제때는 초대작을 담아 보시기 바랍니다~^^
네에 ~ 금지옥엽같은 정보 참으로 고맙니더 ~ ㅎㅎ올해 그리해볼끼라꼬 맘뭇는디 그넘에 바디가 농성을 하는 바람에 안조졌는교 ㅋㅋ.....비오는 금요일 즐거운 날 되시오소서 ㅎㅎ ++++++++++++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내년엔 갈수가 있기를 바래봅니다.
정보 고맙습니다.내년에 도전해볼랍니다.
멋진 작품 넘 아름답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이번에 뵙고싶었는데..ㅜㅜ 시골집에서 일하는 바람에 못갔습니다.ㅋ
글번호 | 작성자 | 제목 | 조회수 | 추천 | 작성일 | |
---|---|---|---|---|---|---|
59 | 처리/손상철 |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눈 사진 담기 [14] | 383 | 0 | 2025-02-23 | |
58 | 처리/손상철 | 눈사진 담기 [25] | 39157 | 0 | 2023-01-10 | |
57 | 처리/손상철 | 간혹~이런 생각을 합니다.(마지막) [21] | 39676 | 2 | 2022-12-02 | |
56 | 처리/손상철 | 간혹? 이런 생각을 합니다...(2) [17+1] | 39440 | 3 | 2022-12-01 | |
55 | 처리/손상철 | 늦반디 촬영방법 [9] | 44459 | 0 | 2022-10-04 | |
54 | 처리/손상철 | 장노출시 ND필터 사용예 [23+1] | 47503 | 1 | 2022-07-19 | |
53 | 처리/손상철 | 장노출 촬영시 노이즈에 대한 고찰 [20] | 46920 | 1 | 2022-07-15 | |
52 | 처리/손상철 |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16+1] | 47619 | 0 | 2022-07-08 | |
51 | 처리/손상철 | 후보정과 사진~~ [20+1] | 50878 | 0 | 2021-07-31 | |
50 | 처리/손상철 | 은하수 파노라마 촬영과 후보정 [22] | 634 | 0 | 2018-10-12 | |
49 | 처리/손상철 |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30] | 51092 | 0 | 2018-06-25 | |
48 | 처리/손상철 | 간단 위성영상 보는법 [12] | 135 | 0 | 2018-01-19 | |
47 | 처리/손상철 | 왜~? ISO100을 고집하시나요..... [50] | 50513 | 0 | 2017-07-08 | |
46 | 처리/손상철 | 불꽃촬영 한컷으로 담는방법~ [16] | 49607 | 0 | 2016-10-28 | |
45 | 처리/손상철 | 별단컷 (은하수)촬영하기,,, [32+1] | 50329 | 0 | 2016-03-15 | |
44 | 처리/손상철 | 파노라마의 또 다른 촬영방법 [54] | 49605 | 0 | 2014-04-13 | |
43 | 처리/손상철 | 별궤적 후보정 하는법 [41+6] | 49275 | 0 | 2014-03-24 | |
42 | 처리/손상철 | 의식과 무의식,,, [25+1] | 49183 | 0 | 2013-03-26 | |
41 | 처리/손상철 | 삼각대와 손각대에 대해 [104+2] | 49762 | 0 | 2013-01-08 | |
40 | 처리/손상철 | 사진은 구도가 최우선이다. [101+6] | 50011 | 0 | 201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