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늦반디 촬영방법
2022-10-04 09:02:26
처리/손상철 9 44,459
■ 출사코리아 운영자 ㅊㅓ ㄹㅣ 입니다. 출사코리아는 사진정보의 무한공유를 그 목적으로 하고, 나눔의 열린장 으로 사진을 하는 모든이 들이 공감하고 동참하는 곳입니다. 배우고자 하는 이,,, 그리고 나누고자 하는 이,,,그들 곁에 출코가 있습니다~!! ㅊ ㅓ ㄹ ㅣ 갤러리 : http://chulsa.kr/acterson 네이버 카페(흙집짓기) : http://cafe.naver.com/brownh596l 메일 : acterson@naver.com

해마다 9월 말경이면 찾아오는 손님?이 있습니다.

숲의 요정이라 하는 반딧불~~그중에서도 늦반디 입니다.

늦반디는 반짝이며 돌아 다니는 봄반디와 달리 불을 켜고 돌아 다닙니다.

그러다보니 결과물은 궤적을 그리는 그림을 만들게 됩니다.

작품의 완성뿐아니라~

가을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만끽하기에 참 좋은 소재 입니다.

고즈녁한 숲속의 한켠에서 풀벌레 소리, 바람소리, 흐느끼는 억새의 소리를 들으며,

조용히 감상해 보는것도 참 좋은 일입니다......

 

늦반디를 찍기 위한 필요장비는~?

삼각대, 릴리즈, 50mm이상 밝은 렌즈가 필요 합니다.

50mm이내의 렌즈는 광각이 되기에 반딧불의 궤적이 너무 가늘게 나와서 비추 입니다.

간혹~~은하수와 같이 담을 경우는 광각렌즈가 필요하지만 일반적인 촬영에서는 50mm이상이 좋습니다.

 

올해 마지막 늦반디 출사 였던 지난주 아우님들 과의 출사~

풍경을 위주로 작품 활동을 하는 이들 이다보니,

인물위주로 담는 85mm렌즈가 아무도 없더군요...

 

50mm렌즈는 다들 보유하고 있지만,

85mm는 가격이 만만치 않다 보니 가지고 있는 이들이 별로 없는거 같습니다.

저는 인물보다는 반딧불 위주로 담으니 빠른 AF 자동촛점이 불필요한지라~

수동렌즈를 수년전에 매입을 했습니다.

삼양 85mm f1.4 가격도 저렴하더군요~제 기억으로는 50만원을 채 안주고 샀던거 같으네요...

 

50mm화각이 적당하긴 한데,,,

결과물을 보면 궤적이 다소 가늘고 날카롭게 느껴 집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만,

반딧불 개체수가 많을 때는 50mm가 더 나은거 같고~

개체수가 그리 많지 않을때는 85mm가 나은거 같습니다.

 

아래는 50mm로 담은 그림입니다.

 

imageSONY/ILCE-7M3 | 50mm f/1.4 | FN 1.4 | ISO 2500 | Manual W/B | 50.0 mm | 1700x1133 | Shutter Speed 15 | Average | 2021:09:27 19:39:49

뒷 배경에 있는 반딧불의 궤적이 그닥 재미가 덜 합니다...

그럼 85mm를 볼까요~?

 

image1700x1133

반딧불의 궤적이 다소 굵게 나타 나면서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이 있습니다.

참고로 위 두렌즈는 다 f1.4 렌즈 입니다.

같은 50mm여도 f1.4와 f1.8은 차이가 상당히 납니다.

 

반면에 반딧불이 좀 많을때 85mm는 아래 그림같은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imageSONY/ILCE-7M3 | ISO 500 | Auto W/B | 1700x1133 | Shutter Speed 10 | Average | 2022:09:21 19:01:34

반딧불이 너무 많아서 다소 혼동스런 결과물이 되었습니다.

반딧불이 많을때는 뒤 배경의 궤적이 가늘게 나타나는 것이 더 아름답게 느껴 지더군요~

 

반면에 47mm f4.5 줌렌즈로 담은 그림입니다.

 

imageSONY/ILCE-7M3 | 24-240mm f/3.5-6.3 | FN 4.5 | ISO 500 | Auto W/B | 47.0 mm | 1700x1133 | Shutter Speed 13 | Multi-segment | 2020:09:23 19:54:38

 

 

궤적이 너무 가늘고 날카로워 재미가 없습니다.

참고를 하시고.....

 


늦반디를 담는 방법은~?

어두워지기전에 현장에 도착해야 합니다.

그 이시기에는 통상 7시경에 나타나기때문에,

늦어도 30분전 이전에 도착해야 합니다.

여유있게 한시간 전에 도착하여 화각도 살피고 연출도 고려 해보고,

주변 촬영환경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연출시는 여러가지 컨셉보다는 한두가지 정도로 단순히 하여 집중하는게 더 좋은 그림을 만들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하여 일단 찍을 장소를 결정하고 삼각대를 설치 합니다.

그리곤 카메라를 거치하고 화각을 봅니다.

어둑 해 질무렵부터 연출샷을 담아 놓습니다.

물론 이때부터는 화각을 고정해 두어야 합니다.

 

imageSONY/ILCE-7M3 | ISO 100 | Manual W/B | 0.0 mm | 1700x1133 | Shutter Speed 1/4 | Average | 2022:09:29 18:21:35




화각을 고정한채~~~연출을 미리 해서 담아 놓습니다.

배경이 적당히 살아있는 시간대,,,땅거미가 깔린 시간대에 담아 두는게 좋습니다.

이때는 약간 어둡게 담아 두는것이 요령입니다.

나중에 반딧불의 궤적을 스타트레일로 작업후 붙일때 밝으면 반딧불의 궤적이 소실되기 때문입니다.

스타트레일작업은 밝은 부분을 겹치는 것이어서,

궤적 파일보다 어둡게 담는게 좋습니다.

또한 나중에 더 어두워 졌을때 담은 궤적의 파일과 비슷한 어두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더 자연스런 합성이 가능합니다.

 

늦반디의 특성상 완전히 어두워지기 전에 나오고,

시기적으로 항상 같은때에 나오므로 통상 저녁7시경 전후에 나타납니다.

7시면 밝은 빛이 남아 있는 시간대여서,

찍으면서 점차 노출이 어두워집니다. 그말은 노출을 조절해 가며 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노출이 바뀌고 색온도가 바뀌기에 화밸은 수동으로 고정해야 합니다.

K 3700~4300정도로 그날의 상황에 따라 고정을 하고 담아야 합니다.

대략 7시 20분이 지나야 완연히 어두워집니다.

이후는 노출을 고정하고 계속 연사로 담으시면 됩니다.

 

늦반디는불을 켜고 돌아 다니기 때문에 셔텨타임은 10~15초 정도가 무난 합니다.

어떤이들은 30초 정도로 담기도 하는데, 많은 컷수는 나중에 후보정 할때 귀챦기 때문 일겁니다.

그러나 이는 한가지 착오가 있습니다.

30초 동안 장노출을 할 경우 실제 반딧불의 궤적 시간은 5초 이내 입니다.

노출이 길어 질수록 움직이는 피사체는 화면에서 어둡거나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감도를 많이 높이고~~셔텨속도는 짧게 가져가는 것이 밝은 반딧불의 궤적을 만들 수 있는 방법입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구름이 많은 날은 주변이 많이 밝아지게 됩니다. 즉 감도를 많이 안올려도 된다는 것이지요~

반면에 구름이 없이 하늘에 별이 반짝이는 날은 주변이 더 어두워서 감도를 더 높여주어야 합니다.

저의 경험으로 구름이 있어 밝은 날은 ISO 800~1000 셔터타임 13초 전후로 담습니다.

구름이 없고 맑고 쨍한 날은 ISO 1500~2000정도, 셔터타임 13초 전후로 담습니다.

보통 한시간 정도면 마무리가 됩니다.

즉 저녁7부터 8시까지 촬영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담은 파일들을 집에서 확인해 보고,

아무것도 없는 파일들은 삭제 해 버리고,

궤적이 보이는 파일들만 남겨서 저장을 합니다.

그리고 스타트레일로 작업을 하여 한시간 동안의 궤적을 합성 합니다.

그것에 다시 연출샷을 합성 합니다.

이렇게 할 경우 인물과 반딧불이 겹쳐서 완벽한 그림이 되지 않습니다.

이 파일에 다시 모델이 있는 파일중 모델이 있는 부분만 따로 레이어로 가져와서 포토샵에서 완성 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궤적의 파일과 모델의 파일의 배경색이나 화밸이 섞이게 하여 자연스럽게 한 후

모델을 따로 작업하여 완성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여 완성한 그림입니다.

(이날은 올해는 이미 마무리를 하였는데 아우들이 찾아와서 다시 한번더 갔기에 반딧불이 적어서 아쉬움이 있는 그림입니다)
 

 

image1700x1133

 

그리고,

늦반디를 담다보면 여러가지 변수가 있는데, 하나라도 놓치면 실패하게 되는 것입니다.

저 또한 아래와 같은 여러 변수로 실패한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장 기본적인 삼각대의 거치 문제~별거 아닌거 같아도 바닥이 풀이 나있는 그런곳이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움직일 확률이 상당히 높습니다.

하단의 스파이크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삼각대에 카메라 체결문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삼각대가 아무리 튼실해도 체결이 되는 몇부분이 있습니다.

삼각대와 볼헤드의 체결, 볼헤드와 퀵슈의 체결, 퀵슈와 카메라의 체결~

삼각대 중심,샤프트의 체결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불을 켜면 당연히 안되겠지요~

불을 켜지 않고 확인해 가며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수가 있지만,

현장에서 직접체험하며 느껴 보시면서 작업해 보시기 바랍니다~!!

 

 

9Comments
마 루 2022.10.05(수) 오전 06:08:04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유용하게 활용하겠습니다
helprew 2022.10.05(수) 오후 02:52:15
궁금했던 부분을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표주박 2022.10.05(수) 오후 04:20:17
세세한강의 감사합니다
올리사랑 2022.10.05(수) 오후 06:03:33
궁금함을 해소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읽고 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송로 2022.10.05(수) 오후 06:34:47
반딧불이 강의 새겨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슴1 2022.10.05(수) 오후 09:01:53
늦반딧불이 강의 감사합니다.
高口馬/김용성 2022.10.06(목) 오전 05:42:00
생생한 반닷불 촬영 강의 경청합니다.
반디들이 서식하는 현장에 나가 그대로 실행해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현암(玄巖)/양방환. 2022.11.15(화) 오후 09:20:31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내년에는 늦반디 촬영을 시도해보겠습니다.
南松 *한종수 2022.12.16(금) 오전 07:01:33
이제사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정회원 이상만 코멘트 쓰기가 가능합니다.
총 게시물 59개 / 검색된 게시물: 59개
글번호   작성자 제목 조회수 작성일
59 thumbnail 처리/손상철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눈 사진 담기 [14] 383 0 2025-02-23
58 thumbnail 처리/손상철 눈사진 담기 [25] 39157 0 2023-01-10
57 thumbnail 처리/손상철 간혹~이런 생각을 합니다.(마지막) [21] 39676 2 2022-12-02
56 thumbnail 처리/손상철 간혹? 이런 생각을 합니다...(2) [17+1] 39440 3 2022-12-01
55 thumbnail 처리/손상철 늦반디 촬영방법 [9] 44459 0 2022-10-04
54 thumbnail 처리/손상철 장노출시 ND필터 사용예 [23+1] 47503 1 2022-07-19
53 thumbnail 처리/손상철 장노출 촬영시 노이즈에 대한 고찰 [20] 46920 1 2022-07-15
52 thumbnail 처리/손상철 제주도 바닷가의 장노출 사진촬영 [16+1] 47619 0 2022-07-08
51 thumbnail 처리/손상철 후보정과 사진~~ [20+1] 50878 0 2021-07-31
50 thumbnail 처리/손상철 은하수 파노라마 촬영과 후보정 [22] 634 0 2018-10-12
49 thumbnail 처리/손상철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30] 51090 0 2018-06-25
48 thumbnail 처리/손상철 간단 위성영상 보는법 [12] 135 0 2018-01-19
47 thumbnail 처리/손상철 왜~? ISO100을 고집하시나요..... [50] 50513 0 2017-07-08
46 thumbnail 처리/손상철 불꽃촬영 한컷으로 담는방법~ [16] 49606 0 2016-10-28
45 thumbnail 처리/손상철 별단컷 (은하수)촬영하기,,, [32+1] 50329 0 2016-03-15
44 thumbnail 처리/손상철 파노라마의 또 다른 촬영방법 [54] 49605 0 2014-04-13
43 thumbnail 처리/손상철 별궤적 후보정 하는법 [41+6] 49275 0 2014-03-24
42 thumbnail 처리/손상철 의식과 무의식,,, [25+1] 49183 0 2013-03-26
41 thumbnail 처리/손상철 삼각대와 손각대에 대해 [104+2] 49762 0 2013-01-08
40 thumbnail 처리/손상철 사진은 구도가 최우선이다. [101+6] 50010 0 2012-07-05

본 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사진과 글은 저작권자와 상의없이 이용하거나 타사이트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사진의 정확한 감상을 위하여 아래의 16단계 그레이 패턴이 모두 구별되도록 모니터를 조정하여 사용하십이오.

color

DESIGN BY www.softgame.kr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